9월 13일 함박산 라이딩 후기
음성 꽃동네 MTB 코스에서 가장 아쉬운 곳이
승주골과 구진테 옛길이다.
승주골 옛길은
감우재 고개에서 삼생리로 이어지는 마을길이지만
관리가 소홀해서 일부 구간이 유실되어
통행이 어려워 사라져가는 길이다.
승주골은 아직도 주민이 살고 있지만,
순탄한 삼생리 방향길을 가지 못하고,
험난한 감우재 고개로 넘나들고 있다.
그러나, 바로 산넘어 백야리 저수지 주변에는
야생동물병원과 휴양림를 조성한다고
산기슭을 파헤치고, 임도를 만들고 있다.
무슨 이유에서 인지는 모르지만
불과 수천만원이면 복구될 길을 외면하고,
수십억원을 들여서 또 다른 산림과 자연을 훼손시키고
승주골 가는 길은 복구할 생각조차 하지 않는다.
또한 군자리 고개가 있는 구진테 옛길도
임도라기 보다는 삼생리와 통동저수지를 이어주는 마을길이다.
그러나, 구진테 옛길도 통동 저수지와 꽃동네로 인하여
통행이 뜸하고 관리가 소홀하여 사라져가는 길이다.
이번 라이딩에서도 험난한 이 길을 따라
성묘를 온 엣 주민을 볼 수 있었다.
망가지고 잡초가 무성한 길을 사륜구동 차량으로
다녀가는 주민들~~~~~~
한남금북정맥의 라이딩 코스가
꽃동네로 인하여 끊어지는 것은
꽃동네에서 통행을 제한한다기 보다는
꽃동네 시설 부지로 들어가지 못한다고
인식하기 때문이 아닌가 한다.
감우재 전승기념관
보현산 임도입구
삼생리 분기점(꽃동네,백야임도,구진테임도, 승주골,통동임도)
구진테 임도
구진테 임도
통동임도 분기점(구진테 임도 입구)
통동 저수지(맹동저수지)
함박산은 음성 맹동면 소재지 뒷산으로
맹동의 통동저수지(맹동저수지)로 이어지는 통동임도 정상에서
조금만 올라가면 오를 수 있는 작은 산이며,
등산로가 사륜구동차량이 다닐 수 있을 정도로 잘 정비되어
꽂동네 주변을 라이딩 시에 잠시 들려가는 코스이다.
함박산 정상은 전망이 좋아서 음성.진천 혁신도시를
한눈에 내려 볼 수 있다.
함박산 등산로 입구
함박산 등산로 표지판
함박산 등산로
함박산 등산로
함박산 등산로 쉼터
함박산 정상 표지석
함박산 정상의 산불감시 초소
함박산에서 내려본 음성.진천 혁신도시부지
함박산 등산로 싱글구간
꽃동네 뒤 소속리산 전경
음성의 용산임도는 임도라기 보다는 사정리와 용산리를
이어주는 고개길이다.
용산리 구간은 정비가 잘되어 있으나,
사정리 구간은 축사 옆 도로가 유실이 심하여
차량의 통행이 어려워 임도에 잡초가 많은 편이지만
라이딩하는데는 불편이 없다.
사정리 고개보다는 육령저수지길을 경유하여
꽂동네 MTB코스로 진입하는 것이 좋다
부용산 아래 사정리 용대골
용산임도
용산임도 정상
용산임도 안내판
용산임도 입구에서 바라본 가섭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