흐름과 머무름 속에서

역사란 그늘 아래서/자취를 밟으며

법흥사 적멸보궁

산골어부 2013. 8. 11. 22:00

 

5대 적멸보궁(寂滅寶宮)

 

적멸보궁(寂滅寶宮)

: 석가모니 부처의 진신사리(眞身舍利)를 모신 법당을 가리킨다.

법당 내에 부처의 불상을 모시는 대신 진신사리를 봉안하고 있는 법당으로 바깥이나 뒷쪽에는 사리탑을 봉안하고 있거나 계단을 설치하고 있다. 보궁의 기원은 석가모니가 깨달음을 얻은 후 최초의 적멸도량회(寂滅道場會)를 열었던 중인도 마가다국 가야성의 남쪽 보리수 아래 금강좌(金剛座)에서 비롯된다. 궁(宮)은 전(殿)이나 각(閣)보다 우위에 있다.

한국에서는 643년 신라의 승려 자장(慈藏)대사가 당나라에서 귀국할 때 가져온 부처의 사리와 정골(頂骨)을 나누어 봉안한 5대 적멸보궁이 있다. 경남 양산 통도사(通度寺), 강원도 오대산 상원사(上院寺), 설악산 봉정암(鳳頂庵), 태백산 정암사(淨巖寺), 사자산 법흥사(法興寺) 적멸보궁이 이에 해당된다.

이들 5대 적멸보궁은 불교도들의 순례지이자 기도처로서 가장 신성한 장소로 신봉되고 있다. 그밖에 대구광역시 달성군의 비슬산(琵瑟山) 용연사(龍淵寺), 경상남도 사천시 다솔사(多率寺) 에도 적멸보궁이 있다.

 

1. 경남 양산시 영축산 통도사(通度寺) (055)382-7182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통도사로 108

2. 강원 정선군 태백산 정암사(淨巖寺) (033)591-2469 강원도 정선군 고한읍 고한 1번지

3. 강원 영월군 사자산 법흥사(法興寺) (033)374-9177 강원도 영월군 수주면 법흥리 422-1

4. 강원 평창군 오대산 상원사(上院寺) (033)332-6666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동산리 산1번지

5. 강원 인제군 설악산 봉정암(鳳頂庵) (033)632-5933 강원도 인제군 북면 용대2리 690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시공 불교사전, 두산백과, 문화콘텐츠닷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