흐름과 머무름 속에서

삶과 담소/구름처럼 바람처럼 54

초부(樵夫)는

초부(樵夫)는 산골어부 봄바람이 나부끼면벌나비도 날지만,철없는 늙은이는뒹굴다가 잠이 든다. 노 젓는 소리는강아지처럼 들리고,장 치는 소리는 문짝처럼 아른거린다. 삭정이 잔가지로넝쿨도 떠받치고,잡초도 뽑다가벌렁 누워 웃는다. 시골에 사는 초부는갈가지처럼 웃으며쑥개떡을 만드는 아내를선녀인양 바라본다. 2025. 4. 14 양근의 나무꾼(楊根樵夫) : 정초부단원의 도강도 : 김홍도 고운당필기 제1권 양근의 나무꾼 시인〔楊根樵夫〕 양근의 나무꾼은 시를 잘 짓기로 나라 안에 알려졌다. 그의 시 〈백조를 읊다[詠白鳥]〉는 다음과 같다. 동호의 봄물 쪽빛보다 푸르니 / 東湖春水碧於藍백조..

초의목식(草衣木食)

초암에서 산골어부 초의가 없는 산방에반가부좌를 하고 앉아서놀음도 하고 싶었다네. 초근목피가 겨웠을까 ?산사에 묻힌 망상은초막에서 잠이 든다네. 초암에 걸터앉아초의를 쓴 스님처럼황차도 마셔본다. 토란과 연근도 먹으며보랏빛 향기를 느끼며호강에 겨워 취한다. 2025. 4. 2 초의(草衣) & 초암(草庵) 대륜산 산골짜기에서무위자연을 떠올리며허무적멸을 상상하다.

다산초부(茶山樵夫)

다산초당에서 산골어부 따뜻한 초당은초부의 일상이기에고주박도 좋았겠지요. 깊고 깊은 산중에먹을 것이 없으니,녹차라도 다렸겠지요. 초부와 초당은 사라지고,허세만 남았으니,유배의 아픔은 없네요. 다산초부와 사대부.산골어부의 눈에는동백꽃만 뚝뚝 지네요. 2025. 4. 1 다산시문집 제14권 / 제(題)가경(嘉慶) 병자년(1816, 순조 16) 7월 상순(上旬)에 다산초부(茶山樵夫)는 쓴다. 다산시문집 제14권 / 김생(金生)의 글씨에 발함 무진년(1808, 순조 8) 5월에 열수산인(洌水散人)은 발한다. 다산시문집 제17권 / 정효자 전(鄭孝子傳) 가경(嘉慶) 신미년(181..

덕고개를 걸으며

덕고개를 걸으며                         산골어부 옛길을 바라본다.옛 고갯길을 따라 걷던 서러운 추억은우는 아이의 모습이다. 새로 난 큰길에서덕고개를 바라본다.울면서 걷던 고갯길에는내가 찾던 엄니가 없다. 산을 넘는 고개도세월 따라 변했는지,어릴 적에 큰 고개는오솔길로 보일 뿐이다. 광대울을 따라 걸으며옛기억을 되새겨 보지만,울면서 넘던 덕고개는저승사자처럼 사라진다.                            2025.  1.   11

돌봄의 역학

돌봄의 역학                             산골어부 재만 남았다.착하게 살았는데,불꽃 따라 사라지고재만 남아 흩어진다. 자식도 싫다는데, 부모도 싫다는데,아니, 모두가 싫다는데,누군가는 해야 한다. 누군지는 잘 모르지만,아주 정성껏 보살핀다. 행복한 천사는 아닐지라도참으로 고달픈 보살일께다. 돌봄의 역학에는생존만이 있을 뿐이다.조금 더 살아 있음에더 살기 위해 몸부림친다.                              2024.   12.   19

초식과 채식

초식과 채식                                       산골어부 텃밭에 앉아서잡초를 뽑는다.야속한 벌레는 채소를 뜯는다.신념도 아닌데,왜 잡초를 거부할까? 곤충이라는 벌레는채소를 기르지도 않지만아무거나 먹지도 않는다.배우지 않은 원숭이도좋아하는 것을 골라 먹는다. 벌레는 비건도 아닌데,촌놈인 나보다 똑똑하다. 잡식을 하는 인간.제초가 아닌 풀 뽑기.농약을 쓰지 않는 것은아집보다는 공존일께다. 풀 뽑기는 끝났다.벌레와의 싸움도 끝났다.겨울이 오면생존이 아닌 휴면이다.하지만 새봄이 더 두렵다.                                2024.   10.  20

별 볼 일 없다

별 볼 일 없다                           산골어부 왜 볼 일이 없을까 ?왜 만날 수 없을까 ?가끔은 수다도 떨고웃던 시절도 있었는데. 떼거리들이 보인다.어쩌면,사람이 아닌 점일께다. 왜 그렇게 보일까 ? 보이지 않는 별과보이는 별은 다를까 ?눈에 보이는 별은특별히 아는 별일까 ?마냥 모르는 별일까 ? 별 볼 일 없는 사람은슈퍼문이 뜰지라도달토끼는 관심이 없다.우연히 볼지라도막연히 지나칠 뿐이다.                             2024.   10.   17

척하지 마라

척하지 마라                                      산골어부 곤(鯤)과 붕(鵬)이아득히 멀리 있어서도물고기와 새처럼 보인다. 텃밭에 노니는 나비는보일 듯 말 듯 오갈지라도햇살과 이슬을 찾는다. 생각 없는 벌레가아무리 작더라도그저 살려고 애를 쓴다. 애벌레가 곤(鯤)이 되면있다고도 하지 말고없다고도 하지 말라. 나비가 붕(鵬)이 되면아는 만큼 커지고생각한 만큼 작아진다. 소소한 일상 속에서봉황이 될 씨앗도그저 자질구레할 뿐이다.                                           2024.  10.   9 #장자(莊子) 소요유(逍遙遊) 편을 보며

아침 햇살처럼

아침 햇살처럼                          산골어부밤새워 울었습니다.그리고, 웃었습니다.너무 기가 막혀서울다가 웃은 눈물은한 맺힌 이슬이 되어여명 속으로 사라집니다. 새벽은 늘 고요합니다.그리고 늘 아름답습니다.울분을 토한 인연이깨치고 일어난 아침은따스한 기운이 되어온몸으로 스며듭니다. 세상은 그렇게 어질지도그렇게 모질지도 않습니다.어제 못다 한 일이아무리 힘들지라도슬기롭게 헤쳐갑니다. 새날은 늘 한결같습니다.그리고, 늘 함께 합니다.해가 뜨고 지듯이가슴을 풀어헤치고햇살처럼 미소짓습니다.                            2024.    7.    24

서석곡(書石谷)에서

서석곡(書石谷)에서                                산골어부 서석과 각석암서와 암각암서헌과 암서재.낙서와 암서는 다를까 ? 태초 이래로무엇을 빌고 빌었을까 ?빌고 빈 것도 모자라서왜 흔적을 남겼을까 ? 신선이 노니는 곳에선남선녀들이 찾아와서아들 하나 점지해 달라고빌고 또 빌고 갔을 것이다. 구멍과 별자리.그림과 조각.최후의 승자는 후세의 인간들이다. 나의 소원은 무얼까 ?서석곡(書石谷)에서홀로 지팡이를 짚고 물끄러미 바라만 본다. 인간의 본성이라는 것이변하는 것이 아니기에.하느님도 부처님도 아닌자신의 소원만 기원한다.                          2024.    7.    20

산목숨인데

산목숨인데                                     산골어부 살아 있음에이 글도 남겨본다.산목숨이라고 다 같을까 ? 꽃만 피는 삶은 없기에더러는 괴롭더라도잊고 살아야 한다. 사는  것이행운은 아닐지라도사는 날까지후회 없이 살아야 한다. 산목숨인데,그냥 살 수는 없지 않겠나살아 있음에 사랑도 느낀다.                            2024.   5.    24

물 말은 밥

물 말은 밥                                  산골어부 엄니밥상을 차린다.모시지 못하기에따뜻한 밥 한 끼 대신에물 말은 밥을 올린다. 딱딱하게 굳은 찬밥은 며칠이나 지났을까 ? 그리고, 아까운 음식들이시골집 냉장고에 가득하다. 다녀간 자식들마다정성을 드린 것들인데.유통기한이 지난 것도 있고,밥상에 오르지 못한 것도 있다. 물 말은 찬밥보다는펄펄 끓인 라면은 어떨까 ?엄니는 물 말은 밥보다는내 새끼 얼굴만 봐도 좋으시단다.                                     2024.   5.   23

지난 어버이날에

지난 어버이날에                                                 산골어부  지난 어버이날에심신을 다스리지 못하여관상동맥 우회술을 받았다.어버이날이라서인지닥터헬기를 바라보다가문득 단발령이 떠올랐었다. "신체발부 수지부모 불감훼상 효지시야(身體髮膚受之父母 不敢毁傷 孝之始也)" "내 목은 자를 수 있어도머리카락은 자를 수 없다"(吾頭可斷 髮不可斷) 상투와 목숨.무엇이 중요할까 ? 목숨을 건 사람도 있지만,대부분은 상투보다는 생명을  더 중요시했던 것 같다. 이제는 변명과 핑계도 잊고목숨을 구걸해서 살기는 했지만,심신을 지키지 못한 후회는어버이날마다 떠오를 것 같다.                                                      2024.  ..

팔주령 소리

팔주령 소리                        산골어부 산 중의 새소리는사랑의 하모니다.짐승의 울림도귓가에 맴돌다가어느샌가 사라진다. 바람소리와 물소리.자연의 숨소리는숲 속의 이야기다.산 중의 울림은마음을 다스리다가고요하게 사라진다. 딸랑딸랑.팔주령 소리는우리들의 이야기다.실없는 외침도야단법석을 떨다가허공 속으로 흩어진다.                           2023.   3.   14

망우리

망우리 산골어부 봄이 오는 길목에 쥐불도 놓고 달집도 태우고 소지도 날리며 봄 마중 가자. 망우리여 ! 쥐불이여 ! 달마중 가자. 사랑스런 내 님아 ! 달마중 가자. 묵은 때 씻어내고 잡귀도 불사르고 새털 같은 마음으로 달 뜨는 언덕으로 봄 마중 가자. 대보름 보름달에 두꺼비든 옥토끼든 무어라도 빌어보자. 정월이라 보름달은 내 님의 미소 같다. 2023. 2.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