며칠 전 하구암리 고분군에서 도굴로 망신창이가 된 고분들과
발굴조사가 진행되었던 고분들을 둘러보면서 씁쓸히 돌아서야 했었다.
공주 박물관과 송산리 고분군 모형전시관을 둘러 보면서
가장 눈에 띄는 것은 공주 수촌리에서 발굴된 유물들이었다.
수촌리 고분의 주인공은 누구일까 ?
왜 ! 그곳에 고분군이 있었을까 ?
송산리 고분군의 무령왕릉보다도
더 궁금한 것은 무엇 때문일까 ?
경주의 고분 뿐만 아나라,
부여,김해,고령,창녕,함안,나주 등등
지방자치단체에서 고분발굴과 복원에
더 열을 올리는 것은 무엇일까 ?
이런 현상은 고려나 조선시대의 문화재에서는
지역적 특색이나 역사성이 잘들어나지 않기에
지역의 뿌리를 찾는 것은 아닐까 ?
그 동안 식민사관에 따른 역사관과
왕의 계보에 따른 역사교육에서 탈피하여
중앙권력에서 소외된 향토사들을 정립하여
~~~~~~
공주 송산리 고분군
무령왕릉에서
'산과 들 > 발길이 머무는 곳에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문경오미자 동굴카페(CAVE) (0) | 2015.07.12 |
---|---|
쌍곡 초원의 집 (0) | 2015.05.16 |
[스크랩] 예천 금남리의 황목근(醴泉 琴南里 黃木根) (0) | 2015.03.29 |
회룡포 원추리와 달래 (0) | 2015.03.28 |
[스크랩] 용인 와우정사에서 (0) | 2015.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