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등지맥은 백운산에서 시작하여 천등산과 인등산을 지나
지등산 관모봉에서 주봉산을 지나 고봉에 이르며
그 줄기는 다시 명오리 죽방치와 서운리 배오개치를 지나
한수라고 일컬어지는 충주호에 이른다.
천등지맥은 대부분 육산으로 잡목이 우거져서 다소 지루하지만
주봉산을 지나면서 암릉으로 바뀐다.
특히 고봉에서 375봉에 이르는 구간은 그 동안의 지루함을 떨쳐주는 곳이다.
음달말 임도에서 바라본 고봉
미라실로 이어지는 서운리 임도
고봉에서 바라본 천등지맥의 마지막 줄기
고봉에서 바라본 배오개 줄기
고봉에서 바라본 건지마을
고봉에서 바라본 삼탄강의 끝자락(합강머리)
고봉 정상의 고사목(산불로 ~~~)
고봉 정상
고봉에서 내려본 서운리 능골
암봉에서 바라본 고봉
고봉 아래의 암봉
암봉 정상의 하부
암봉 정상의 하부
등곡산 너머로 보이는 월악산
374봉
갑산지맥 너머로 보이는 비봉산
남한강과 삼탄강이 만나는 갑산지맥의 끝자락
고봉과 서운리 임도
375.9봉
375봉에서 바라본 배오개
375봉에서 바라본 죽방치
375봉에서 바라본 등곡산과 황학산
375봉에서 바라본 포탄리길
명오리 능암골로 향하는 임도
수암 권상하의 증조부와 조부묘
수암 권상하의 부친묘(권격)
천등지맥의 끝자락( 함암리 274.9봉)
배오개재의 집터와 잡목이 제거됨
이 산중에 웬 드럼통과 나무 ?? (드럼통 위치가 얼마 전에 이동)
배오개재 정상
배오개재(길도 없는 곳에서 이것을 보고 무척 반가웠습니다.)
배오개치(274.9봉)
등곡지맥의 끝자락
등곡지맥 끝자락인 황학산 아래의 오지마을
배오개재(명오리와 서운리를 이어주던 신작로)
배오개재에서 바라본 명오리 죽방치
음달말 임도에서 바라본 고봉 줄기
(한수면 지명 유래에서)
4. 사기리(사그막, 沙器幕里)
[위치] 한수면 북쪽에 위치하며 1984년 인구는 32명이다.
[연혁] 청풍군 수하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사기를 만들던 사기막이 있었으므로 사그막, 사기막, 사기막리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사기리라 하여 제천군 수하면에 편입되었다가 1929년 10월 14일 한수면에 편입되었음
[산업] 경지면적 중 논이 9.0ha, 밭이 61.8ha 분포하고 있다.
[자연부락]
⼑ 창내 : 사기리의 첫마을로서 남한강에서 합류하는 창냇물이 흐르고 있어 불려졌으나 청풍댐 건설로 수몰되었음.
⼑ 사그막 : 창내 윗마을 잠실이 있었음
⼑ 수석중 오석이 많이 나던 곳
⼑ 도내에서 퇴비생산 연속 1위를 하던 곳이며 고 신동명씨의 눈치 고기잡이가 또한 일품이던 곳.
5. 명오리(鳴梧里, 매우제, 명오재)
[위치] 한수면 북쪽에 위치하여 1984년 인구는 22명이다.
[연혁] 청풍군 수하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매우재 도는 명오, 명오재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폐합에 따라 명오리라 하여 제천군 수하면에 편입되었다가 1929년 10월 14일 한수면에 편입되었음.
[산업] 경지면적 중 논이 21ha, 밭이 81.6ha이며 과수원이 10ha 분포하고 있다.
[자연부락]
⼑ 능산골 : 새터 서쪽에 있는 마을(수암 권상하 선대 3대 묘소가 있어 붙여진 마을)
⼑ 상명오 : 명오 위쪽에 있는 마을.
⼑ 상명오나루 : 상명오나루 부근에 있는 마을
⼑ 새터 : 큰길가, 하명오라고도 하였으며 큰 길가 서쪽에 새로 된 마을
⼑ 안골 : 상명오 북쪽 골짜기 안에 있는 마을
⼑ 오동골 : 큰길가 남쪽에 있는 마을로 오동나무가 많았음
⼑ 큰길가 : 명오리 중심에 있는 마을로 옛 관행길 옆이 됨
⼑ 풀무골 : 큰길가 북쪽에 있는 마을로 전에 풀무를 놓았었다 함
⼑ 하명오 : 명오 아래쪽에 있는 마을
[기타]
⼑ 배오개재 : 능상골 서쪽에서 충주로 가는 고개로 옛 관행길로써 포탄리 포탄나루터의 나룻배로 오는 손님을 이곳까지 나와 환송하였다 함.
⼑ 상명오나루 : 상명오 앞에 있는 나루터
⼑ 소삼재 : 안골 북쪽에서 사기리로 가는 재
⼑ 죽방재(竹方峴) : 풀무골 북쪽에 있는 고개로 옛날 황강 역에서 청풍현과 세천현으로 질러가는 길이었는데 고개가 높고 가파라서 죽을 먹고는 넘을 수 없었다 함.
⼑ 수위깨땅으로 밭농사의 최적지였으며, 고려시대 고려장 터가 나왔으며 선사시대 유물들이 많이 출토되었던 곳이다.
⼑ 수석의 산지(오석, 미석, 산수경석 등)
6. 서운리(瑞雲里, 서론, 서룬)
[위치] 한수면 북쪽에 위치하며 1984년 인구는 223명이다.
[연혁] 청풍군 수하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서론, 서룬, 서운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서운리라 하여 제천군 수하면에 편입되었다가 1929년 10월 14일 한수면에 편입되었음. 고구려 때 사열이현의 현청 소재지였다 함.
[산업] 경지면적 중 논이 5ha, 밭이 33ha 분포하고 있다.
[교육·문화] 동량초등학교 서운분교, 한수면 함암초등학교가 청풍댐 건설로 수몰되어 서운리로 이주하였으나(1983년 12월 31일) 학생수가 적어 한수면 송계분교로 있다가 본교와의 거리가 멀어 1985년 3월 1일로 충주시 동량면 동량초등학교 분교가 되었음.
[자연부락]
⼑ 능골(陵谷) : 서운 북쪽에 있는 마을
⼑ 음달말 : 서운 동쪽 음달에 있는 마을
⼑ 평지말 : 서운 복판 평지에 있는 마을
⼑ 흑목골 : 서운 북서쪽에 있는 마을로 충주시 동량면 지동의 흑목동으로 가는 길 어귀가 됨.
⼑ 동산모퉁이 : 옛날 2반의 마을
⼑ 진대거리 : 옛날 군사가 진을 쳤던 마을
[산천]
⼑ 동산 : 서운 북서쪽에 있는 동산
[기타]
⼑ 까마우바우 : 웅달말 뒷산에 있는 바위로 모양이 까마귀가 앉아있는 것처럼 생겼다 함.
⼑ 동우점골 : 서운 동쪽에 있는 골짜기로 동우(동이)를 만드는 집이 있었다 함.
⼑ 말모기 : 흑목골 서쪽에서 충주시 동량면 화암리로 가는 고개로 전에 이곳에서 말을 길렀다 함
⼑ 문바우 : 새목재에 있는 바위로 길 양쪽에 서 있어서 마치 문처럼 됨
⼑ 버섯재 : 능골 북쪽에 있는 고개로 버섯이 많음
⼑ 벼락바우 : 벼 바웃골에 있는 바위로 전에 벼락을 맞았음
⼑ 삼성뜰 : 서운 앞에 있는 들로 정승 세 사람이 날 명당이 있다 함
⼑ 상선재(上仙現) : 흑목골에서 포탄리로 가는 고개로 신선말달니 밑이 됨
⼑ 새목재 : 능골 북서쪽에서 동량면 지동으로 가는 고개로 지형이 새의 목처럼 생겼다 함.
⼑ 서운사터 : 서운리에 있는 절 터로 고려 공양왕이 이곳에 왔었다고 기록한 바가 있음
⼑ 수리재 : 능골 북쪽에서 동량면 지동으로 가는 고개로 임진왜란 때, 이대수가 의병을 일으켜 이곳에서 왜적을 무찌르다가 그의 아들 여수와 더불어 전사하자 그의 처 한양 조씨와 며느리 전의 이씨도 순절하였음.
⼑ 신선말달니 : 서운 북서쪽 주봉산 중허리에 있는 버덩으로 신선이 말을 달리던 곳이라 함
⼑ 자라바위 : 서운리 능골 뒷마을에 큰 바위가 있는데 그 모양이 자라 모양으로 생겼다 함.
⼑ 점꼴 : 음진말 동쪽에 있는 골짜기로 토기점이 있었다 함.
'산과 들 > 산길 따라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월 9일 천등산 순환임도 트레킹 (0) | 2009.12.10 |
---|---|
[스크랩] 등곡지맥의 끝자락(등곡산-황학산) (0) | 2009.02.20 |
등곡지맥(봉화재와 경심령) (0) | 2009.02.05 |
남산-발치봉-대림산 종주산행 (0) | 2009.02.01 |
[스크랩] 소백산 산행(죽령에서 다리안 계곡) (0) | 2009.0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