흐름과 머무름 속에서

역사란 그늘 아래서/자취를 밟으며

상주 견훤산성

산골어부 2017. 3. 12. 18:49


견아성(?)


동성왕<東城王 479~501 재위기간 22년>


十六年秋七月(십육년추칠월) : 16년 가을 7월,

高句麗與新羅戰薩水之原(고구려여신라전살수지원) : 고구려와 신라가 살수 벌판에서 싸웠는데

新羅不克(신라불극) :

退保犬牙城(퇴보견아성) : 신라가 이기지 못하고 견아성으로 퇴각하여 방어하고 있다가

高句麗圍之(고구려위지) : 고구려 군사에게 포위되었다.

王遣兵三千救(왕견병삼천구) : 왕이 군사 3천 명을 보내 구원하자

解圍(해위) : 포위가 풀렸다.


炤知麻立干(소지마립간)  <479~500 재위기간 21년>


十六年夏四月(십육년하사월) : 16년 여름 4월,

大水(대수) : 홍수가 났다.

秋七月(추칠월) : 가을 7월,

將軍實竹等與高句麗戰薩水之原(장군실죽등여고구려전살수지원) :
장군 실죽 등이 살수 벌에서 고구려와 싸웠으나

不克(불극) : 승리하지 못하고

退保犬牙城(퇴보견아성) : 퇴각하여 견아성을 지키고 있었다.

高句麗兵圍之(고구려병위지) : 고구려 군사가 그들을 포위했다.

百濟王牟大遣兵三千(백제왕모대견병삼천) : 백제왕 모대가 군사 3천 명을 보내

救解圍(구해위) : 포위를 풀고그들을 구원하였다


文咨明王(문자명왕) :  문자명왕은 <492~519 재위기간 27년>


三年春正月(삼년) :  3년

秋七月(추칠월) :  가을 7월

我軍與新羅人(아군여신라인) :  우리 군사가 신라 군사와 

戰於薩水之原(전어살수지원) :  살수 벌판에서 싸웠다.

羅人敗保犬牙城(라인패보견아성) :  신라 군사가 패배하여 견아성으로 들어가 수비하였다.

我兵圍之(아병위지) :  우리 군사가 이를 포위하였다.


百濟遣兵三千援新羅(백제견병삼천원신라) :  백제에서 군사 3천 명을 보내 신라를 구원하자.

我兵引退(아병인퇴) :  우리 군사가 퇴각하였다.



 

 

 

 

 

 

 

 

 

 

 

 

 

 

 

 

 

 

 

 

견아성(?)

'역사란 그늘 아래서 > 자취를 밟으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천사 철조 여래좌상  (0) 2017.06.21
대전 계족산성  (0) 2017.03.18
오목대와 전주향교  (0) 2016.12.12
전주사고  (0) 2016.12.12
전주 한옥마을에서  (0) 2016.1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