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석사 범종루에는 범종이 없다 .
법구사물(法具四物) 범종, 법고, 목어, 운판
사찰에서는 범종각이나 범종루에 4가지를 한꺼번에 걸어둔다. 타악기처럼 두드려서 소리를 낸다. 예불이나 의식, 식사 시간을 알리는 데 쓰이나 상징하는 것은 각각 다르다. 범종은 지옥의 중생을 제도하고 법고는 가축이나 짐승을 제도하며, 운판은 공중을 떠도는 영혼, 특히 새의 영혼을 극락으로 인도하고 목어는 물고기들의 영혼을 제도한다.
범종은 본래 대중을 모으고 때를 알리기 위하여 쳤으나 점차 조석예불이나 의식을 치를 때 치게 되었다. 치는 횟수에 따라 의미가 다른데, 28번은 부처로부터 6조 혜능(慧能:638∼713)까지 이어진 법맥이 28명이란 뜻이고, 33번은 불교의 세계, 곧 33천을 의미한다. 108번은 백팔번뇌를 타파하고 지옥에서 고통받는 중생의 고통을 덜어준다는 의미이다. 종소리가 지옥으로 울려퍼지라는 의미에서 종 입구는 아래를 향한다.
법고는 법을 전하는 북으로, 특히 축생들을 제도한다. 몸통은 나무로 만들고 두드리는 면은 한쪽은 수소, 다른 쪽은 암소 가죽을 대야 소리가 잘 난다고 한다. 보통 종각에 걸어두고 예불을 알릴 때 친다.
목어는 나무를 물고기 모양으로 만든 것으로 배 부분을 파내고 그 속을 두드려 소리를 낸다. 어고(魚鼓) 또는 어판(魚板)이라고도 한다. 처음에는 단순한 물고기 형태였으나 점차 용 머리에 여의주를 문 모습으로 변하였다. 길게 두번 두드리면 공양시간, 한번 두드리면 모이라는 의미였으나 현재는 독경이나 의식에 사용한다. 목탁은 목어가 변형된 것이다.
운판은 구름 무양의 얇은 청동판이다. 판 위에는 보통 보살상이나 진언을 새기고 가장자리에 승천하는 용을 조각한다. 본래 부엌이나 식당에 걸어두고 대중들에게 공양시간을 알릴 때 사용하였으나 지금은 의식용구로 예불 때 다른 사물과 함께 친다.
[네이버 지식백과] 사물 [四物] (두산백과)
꿀꿀한 마음을 비우려고
고치령에 오른다는 것이
올라가보니, 마구령.
너털웃음을 짓다가
큰형님이 계신 부석사로.
봉황산에 울려퍼지는
예불소리를 듣다가보니,
평소에 하지않던
큰형님께 삼배를 올렸다.
큰형님은 내 소원을 들어줄려나.
소원이 이루어진다면
108배 아니 삼천배라도 할텐데.
무심한 형님.
조용한 밤.
산사의 밤은 깊어만 간다.
'산과 들 > 발길이 머무는 곳에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회마을 부용대에서 (0) | 2017.10.29 |
---|---|
소백산 고치령에서 (0) | 2017.10.15 |
소백의 아침 (0) | 2017.08.29 |
[스크랩] 해신당 공원에서 (0) | 2017.08.15 |
울진 바닷가에서 (0) | 2017.08.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