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사기 신라본기 진평왕
고구려의 낭비성을 침공하다 ( 629년 08월 )
51년(629) 8월에 왕이 대장군(大將軍) 용춘(龍春)註 001과 서현(舒玄),註 002 부장군(副將軍)註 003 유신(庾信)註 004을 보내 고구려의 낭비성(娘臂城)註 005을 침공하였다.註 006 고구려인이 성에서 나와 진(陣)을 펼쳤는데, 군세(軍勢)가 매우 왕성하였다. 우리 군사들이 이를 바라보고 두려워서 별로 싸울 마음이 사라졌다. 유신이 말하기를, “내가 듣건대, ‘옷깃을 잡고 흔들면 갖옷이 바로 펴지고, 벼리를 끌어당기면 그물이 펼쳐진다.’라고註 007 하였으니, 내가 그 벼리와 옷깃이 되겠다.”라고 하였다. 이에 말에 올라타 검을 빼들고 적진(敵陣)을 향하여 곧바로 나아갔다. 적진에 세 번 들어갔다가 세 번 나왔는데, 매번 들어갈 때마다 장수의 목을 베거나 깃발을 뽑았다. 군사들이 승기를 타서 북을 치며 진격하여 5천여 명의 목을 베어 죽이니, 그 성이 이에 항복하였다.註 008

삼국사기 잡지 지리
견성군(堅城郡)註 157은 본래 고구려(高句麗) 마홀군(馬忽郡)註 158이었는데, 경덕왕(景德王)註 159이 이름을 고쳤다. 지금은 포주(抱州)註 160이다. 거느리는 현(領縣)은 2개이다.
사천현(沙川縣)註 161은 본래 고구려(高句麗) 내을매현(內乙買縣)註 162이었는데, 경덕왕(景德王)註 163이 이름을 고쳤다. 지금까지 그대로 따른다.
동음현(洞陰縣)註 164은 본래 고구려(高句麗) 양골현(梁骨縣)註 165이었는데, 경덕왕(景德王)註 166이 이름을 고쳤다. 지금까지 그대로 따른다.
































백제초축설이란 ?
신축
재축
증축
개축
보수
산성의 초축 흔적만으로는 ~~~~~
'역사란 그늘 아래서 > 자취를 밟으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암사지에서 (0) | 2025.04.18 |
---|---|
해남 방산리 장고분 (0) | 2025.04.04 |
소이면 비산리(이국헌과 엄찬) (0) | 2025.01.08 |
충주 의림사지 발굴조사지 (0) | 2024.12.06 |
대림산성 봉수대 (0) | 2024.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