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운산은 치악산에 가려서 크게 빛을 보지 못하는산입니다.^^ 원주에서 충주가는길로 우회전하여 접어들면 연세대 매지캠퍼스가지 전에 백운산 용소골로 올라가는길이 나온다. 용소골 삼거리에서 소용소동으로해서 백운산 동쪽 안부로 이어지는 콘크리트 포장길을
업힐하면 임도 삼거리가 나온다. 여기서 안부로 향하면 군사시설물을 지나 차도리계곡으로
이어지지만 등산로를 따라 끌바와 멜바를 해야 한다. 삼거리에서 우회전하면 서곡임도가
나오고 이는 다시 용소골 삼거리로 이어진다. 서곡임도는 약 8km정도이다.
연세대 매지 캠퍼스를 지나 양안치재 정상의 휴게소에서 보면 십자봉 등산로 입구와 임도 입구가
보인다. 이곳이 매지임도이다. 매지임도는 약7km정도이며, 회촌의 박경리 문학관으로 이어진다.
회촌에서 백운산 서쪽 안부 오두치로 등산로을 따라 끌바하면 백운면 덕동계곡이 나온다.
십자봉 배째고개는 제천 백운면과 원주의 귀래면을 이어주는 고개이다.
백운구간은 포장구간이고, 귀래 구간은 비포장 임도이며, 다리골에서 소림구간은 현재 공사가
진행 중이다. 화당임도는 배째를 기준으로 남측과 북측에 서로 비슷한 임도로 구성되어 있다.
배째고개의 다리골 구간은 짧고, 업힐이 빡세다. 화당임도는 십자봉 구간과 옥녀봉 구간을 합하면 약 14km정도이다.
원주시 신림면 금창리에 위치하는 신림MTB코스는 백운산 벼락바위봉 동쪽에 위치하며,
제천에서 원주방면의 치악재 아래 심밭골관광농원으로 진입한다.
국도입구에 임도안내판이 설치되어 있고, 코스의 분기점마다 코스 진행방향이 표식되어 있으며,
출발점인 집결지에 임도 코스안내판이 있다. 집결지에서 우측의 치악재 방면으로 업힐하면
심밭골관광농원을 지나서 제1분기점이 나온다.
제1분기점은 치악산 자연휴양림을 경유하여 금대유원지 계곡 중앙고속도로 밑으로 다운힐된다.
제1분기점에서 좌측으로 조금만 진행하면 제2분기점이 나오는데, 이곳에서 우측은 현재 벌목이 진행중인 막다른 임도이다. 제3분기점은 벼락바위봉으로 이어지는 막다른 임도가 있다.
제4분기점은 집결지로 다운힐하는 곳이다.
신림MTB코스는 약12K이며, 제1분기점까지는 콘크리트 포장도로이고, 구학임도 방면으로 진행할 경우는
제4분기점에 직진하여 제5분기점으로 향한다.
제5분기점에서 구학임도 방면의 중간지으로 다운힐하면 돌로마이트 채석장과 공장으로 이어지는데,
낙석과 발파등의 위험으로 진입하면 곤란한 곳이다.
제5분기점에서 구학임도를 따라 내려가면 구학2리 옷샘송어양식장(풍차건물) 뒤로 빠져나간다.
구학리 계곡을 따라 내려가면 PVC 파이프 공장 앞에서 백운-신림간(지방도로 402번) 도로가 나온다.
지방도로를 따라서 집결지로 원점회귀하면된다.
운학임도는 백운면소재지에서 신림으로 가다보면 덕동계곡입구를 지나서 운학리가 나온다.
새터말을 지나면 석산이 있고, 석산 옆으로 난 비포장 산길이
덕동-운학임도로 길이는 약 7km이며, 백운산 남릉 안부에서 백운산임도(오두치-차도리)와 연결된다.
새터말을 지나 조금 더 가면 우측으로 거문골이 있는데.
입구에 거문골 황토방 안내판을 따라 들어가면 임도 입구가 나온다.
임도길이는 약12km이며 구력재(운학재)로 이어진다.
운학임도에서 신림임도를 타려면 운학재를 넘어서 석동(구학사입구 맞은편)으로 진입하여
구미동 옷샘송어양식장 뒤에서 구학임도로 진입하면 된다.
운학임도에서 백운으로 회귀하려면 구력에서 운학재로 업힐하여
운학재 정상에서 도곡임도로 진입한다. 도곡임도는 방학동 백마저수지와 화당리로 연결된다.
도곡임도는 화당리 방면으로 라이딩하는 것이 좋다.
백운산 임도 라이딩은 위에 설명한 임도와 연계가 할 수 있습니다.
백운면 소재지에서 신림방향으로 진행하면 덕동계곡 입구가 나온다.
덕동계곡 중간지점에는 백운산 남름안부와 운학리 새터말 채석장으로 이어지는
약 7km짜리 임도가 있는데, 이는 회귀로로 이용하는 것이 좋다.
이곳에서 조금 올라가면 덕동산림욕장 입구가 나온다. 이는 십자봉 자락을 따라 백운사
오두치 계곡으로 이어지며, 삼거리에서 원덕동길과 만난다.
이곳 임도 삼거리가 백운산 임도 시점이다. 오두치를 따라 업힐하면 백운산 남사면을 따라
라이딩 하다보면 남릉 안부에 임도 삼거리가 나온다. 이곳에서 다운힐 하면 덕동산림욕장과
운학리 새터말로 이어지므로 직진하여 차도리 계곡으로 향한다.
백운임도 라이딩을 마치고 거문골에서 운학임도로 업힐하여 구력재(운학재)로 빠져나가
운학재 정상에서 도곡임도를 경유하여 백운면 소재지로 빠져 나간다.
백운산 임도는 덕동산림욕장과 백운임도,운학임도,도곡임도와 연계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화당임도와 신림임도와 파랑재는 도로 라이딩으로 이동해야 하고, 라이딩 거리도 길어져
하루에 라이딩하기는 힘든 코스이며, 서곡임도와 매지임도와의 연계는 끌바와 멜바를 해야하는
트레킹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