흐름과 머무름 속에서

역사란 그늘 아래서/자취를 밟으며

[스크랩] 장미산성을 둘러보며

산골어부 2010. 12. 24. 09:00

2010년 12월 22일

 

오늘은 12월 22일 동지날이다.

태양의 실제 기울기를 기준으로 한다면 동지날이 설날이겠지만

달력에는 아직도  2011년이 되려면  올해가 열흘이나 남아있다.

그리고, 우리 우리 설날은 아직도 까마득하다.

어제는 청주예술의 전당에서 열리는 교향악단의 송년음악회를 보면서 ~~~

 

베토벤(1770 ~ 1827)  

/서곡 "에그몬트" 작품 84

/트리플 협주곡 다장조 작품 56

/교향곡 제7번 가장조 작품 92

 

올해에 남한강 일대의 산성들을 모두 돌아볼 계획이었는데,

아직도 돌아보지 못한 곳들이 너무도 많다.

남한강 주변의 산성들은 거의 대부분 다녀온 곳이지만,

지난 날에 돌아본 곳들은 산성을 답사한다기보다는

산행과 여행 중에 잠시  스쳐 지나간 것에 불과하기에

그저 위치와 어렴풋한 기억만 떠오를 뿐이다.

 

이번에 장미산성을 둘러보면서 참으로 많은 생각을 했다.

90년대 초부터 장미산에 다녀간 것이 서른 번은 족히 넘을 것이다.

그 동안 장미산을 오르고 내리면서 장미산성보다는

잠시 짬을 내서 남한강을 바라보며 머리를 식힐 뿐.

장미산성은 그저 옛성이며 돌무더기에 지나질 않았다.

그러나, 장미산성의 둘레길을 모두 답사하면서

장미산성은 또 다른 의미로 나를 혼란케 했다.

 

"누이 보련이와 남동생 장미가 성쌓기 시합을 했다는 전설의 성."

"삼국시대에 있던 국원경과 중원경에서 가장 중요한 위치에 있는 성."

 

작게만 여겼던 장미산성은 지난 날 내가 느꼈던 성이 아니었다.

장미산성의 성벽이 무너져내린 돌무더기와 흔적들.

그 속에 숨어있는 천 년의 비밀과 진실은 무엇일까 ?

보련산성과 장미산성 그리고 무쇠봉성지.

대림산성과 남산성 그리고 충주읍성.

문화동 토성 그리고 봉현성지  그리고 탄금대 토성.

??????????~~~~~~~~~~~~

 

(장미산 정상 표지석)

 

(장미산성 안내표지판)

 

(장미산 정상 전경)

 

(장미산성 성벽 위 토루)

 

(장미산성 서측 전경)

 

(장미산성 정상 부근 헬기장)

 

(장미산성서 바라본 무쇠봉과 보련산)

 

(장미산에서 바라본 가흥창과 남한강)

 

(장미산에서 바라본 묘곡과 동서고속도로 현장)

 

(장미산성 북측의 봉학사와 북문지)

 

(장미산성 북측의 봉학사와 북문지)

 

(장미산성 북측의 봉학사와 북문지)

 

(장미산성 북동쪽 치성터에서 바라본 장천리와 남한강)

 

 

(장미산성 북동쪽 치성터 발굴지)

 

(장미산성 북동쪽 치성터 발굴지)

 

(장미산성 동측 부득골 부근 전경)

 

(장미산성 동측 부득골 부근 전경)

 

(장미산성 내 암석과 바위)

 

(장미산성 동측 사창이-조정지댐   부근 전경)

 

(장미산성 동측 사창이-조정지댐  부근 전경)

 

(장미산성 동측 치성터에서 바라본  월상리 옥강정)

 

(장미산성 등측 사면 전경)

 

(장미산성 동측 치성터에서 바라본  월상리 옥강정)

 

(장미산성 동측  안반내 골짜기)

 

(장미산성 남측 성벽 위 등산로)

 

(장미산성 서측 남단 성벽 및 등산로)

 

(장미산성 서측 남단 우물지 이정표)

 

(장미산성 남단 우물지)

(장미산성 서측 묘곡 마을 위 서문터)

 

(장미산성 서측 묘곡 마을 위 서문터)

 

(장미산성 서측 묘곡 마을 위 서문터 부근 내측 성벽)

 

장미산성 서측 묘곡 마을 위 서문터 부근 성벽)

 

(장미산성 서측의 석축)

 

(장미산성 서측의 석축)

 

(장미산성 서측의 석축)

 

(장미산성 서측의 석축)

 

(장미산성 서측의 석축)

 

(장미산성 서측의 석축)

 

(장미산성 서측의 성벽)

 

(장미산성 서측의 성벽)

 

(장미산성 서측의 성벽)

 

(장미산성 서측의 성벽)

 

(장미산성 서측 성벽보수구간)

 

(장미산성 서측 성벽보수구간에 버려진 돌무더기)

 

(장미산성 서측 북단 전경)

 

(장미산성 서측 북단 전경)

 

(장미산성 서측 북단 전경)

 

(장미산성 북측 전경)

 

(장미산성 보수구간 석축)

 

(장미산성 서측 성벽보수구간에 버려진 돌무더기와 참호 또는 배수구)

 

(장미산성 북측 치성터 석축)

 

(장미산성 북측 치성터 석축)

 

(장미산성 북측 치성터 위 돌탑)

출처 : 남한강 물길 따라 이어지는 발자취
글쓴이 : 산골어부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