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련산성은 현재의 지명이며, 역사서에는 천룡성과 천룡산 고성 또는 봉황성으로 기록된다. 보련산과 천룡산은
동일한 산으로 사찰의 존폐에 따른 명칭이며, 봉황성은 고유지명에 따른 것으로 추정한다. 이는 보련골 보련사지
에서 보면 보련산 보련산성이고, 천룡마을 천룡사지에 보면 천룡산 천룡성이고, 봉황리 봉황골에서 보면 봉황성
이라는 것이다. 보련산성과 장미산성에 따른 보련과 장미의 남매축성 설화는 후대에 전래된 것으로 추정하며,
보련산성은 봉황성이고 장미산성은 신라 문무왕 때 축조된 국원성이 아닐까한다. 이 글은 가금면 봉황리의
봉황산과 을궁산에 연관된 지명 중에서 새(鳥)에 관한 지명을 조사하고 답사한 것이다.
달천강의 발원지인 속리산에서 분기한 한남금북정맥은 음성의 보현산과 부용산에서 달천수계인 부용지맥을
만든다. 충주시 경계를 이루는 부용지맥은 가섭지맥과 오갑지맥으로 분기되며, 가섭지맥은 달천수계의 음성천과
요도천을 가르는 충주시경계의 산줄기이며, 오갑지맥은 남한강수계의 청미천과 앙성천을 가르는 충주시경계의
산줄기이다. 장미분맥은 수리산에서 분기하여 장미산으로 이어져서 요도천과 한포천으로 갈라지며, 국망분맥은
승대산에서 분기하여 무쇠봉으로 이어져서 한포천과 앙성천으로 갈라진다. 한남금북정맥 중 보련산성 주변에서
나타나는 산이름을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수레의산(수리산)-원통산-승대산-이진봉-오갑산-치마산-새바지산-양지말산-봉황산(할미바위)-봉황골(봉황내)
수레의산(수리산)-원통산-승대산-국망산-보련산(보련산성)-쇠바위봉-국사봉-무쇠봉(무쇠봉성터)-봉황골(봉황내)
수레의산(수리산)-매방채산(매봉산)-자주봉(덕련산)-햇골산-평풍산-을궁산-장미산(장미산성)-봉황골(봉황내)
가흥면 봉황리의 봉황섬은 앙성천과 한포천이 합류하는 곳이다. 앙성천은 앙성면 용포에서 흘러내리고, 봉황내는
노은내치기라고도 한다. 한포천은 노은면에서 흘러내리는 큰개울인 한천에서 유래한다. 옛 가흥면의 봉황리에서
봉황골이란 지명이 나타나며, 보련산 줄기에 있는 무쇠봉에는 무쇠봉 성터로 알려진 곳이 있다. 무쇠봉 성터는
국사봉과 무쇠봉 사이의 안부로 지목되지만 성터의 흔적은 찾을 수 없었고, 무쇠봉 주변의 지명을 살펴보면은
쇠바위봉, 새바지산, 무쇠봉, 봉황성, 봉황산(봉황대), 을궁산 등이 산재하는데, 쇠바위봉는 새처럼 생긴 바위,
새바지산은 새의 놀이터, 무쇠봉는 새가 춤추는 봉우리, 봉황산은 봉황이 앉는 산, 을궁산은 새들의 보금자리 등
봉황리 일대는 새(鳥)와 연관된 지명들이다. 그리고, 봉황리는 남한강 유역 철새들의 낙원처럼 보여진다.
봉황성은 새들의 낙원인 을궁산처럼 국원성의 중심으로 해석할 수도 있다. 봉황성은 장미산성, 보련산성, 무쇠봉
성터가 아니라, 국원성의 중심에 있는 군사 주둔지로 추정할 수도 있다. 중원고구려비에 나오는 우벌성은 산성이
아니라, 고구려의 대군이 주둔한 평지성으로 해석하는 것은 대규모의 군사가 보련산성과 장미산성 같은 산성에
주둔한다는 것이 전략상 설득력이 없기 때문이다. 이 지역은 고구려의 광개토왕 또는 장수왕이 한강유역을 점령할
때에 남한강과 달천강을 경계로 신라군과 대치한 지역으로 보련산성과 장미산성은 고구려의 전초기지로 추정된다.
고구려의 막강한 군사력에 신라가 대항하지 못하고 고구려와 조약을 맺은 곳이다. 따라서 중원고구려비에 나타난
우벌성은 산성이 아니라, 평지의 주둔지로 추정된다. 공격전에는 평지를 점령하고 성을 공격하는 것이고, 방어전
에서는 산성에서 항전하는 것이며 전투가 끝난 후에 관리하기 위하여 산성을 구축한다. 보련산성과 장미산성은
고구려에 유리한 산성이고, 남산성과 대림산성은 신라에게 유리한 산성으로 볼 수 있다. 현존하는 보련산성과
장미산성은 신라와 고려시대에 축성된 것으로 추정하지만 그 이전에 고구려 국원성의 중심이 아닐까 한다.
보련산 보련산성(천룡성)에 잔존하는 석축에 쓰인 돌들이 다듬어진 것이 아니라 돌을 채취하여 가공하지않고
절취된 형상과 면을 고려하여 축성되어 신라시대의 산성과는 다른 축성법을 보여준다. 보련산성의 역사적 가치는
중원고구려비에 나타난 우벌성에 대한 논란에서 고구려 때의 노음죽현과 사열이현 사이에 존재한 당시의 국원성의
중심지와 중원고구려비 비문에 나오는 우벌성의 위치를 풀어주는 열쇠가 아닐까 한다. 보련산성과 장미산성
답사에서 봉황성과 우벌성에 대한 의문점만 남기는 것은 자료가 없다는 것보다는 당시의 상황이 아니라, 현재의
시각으로 역사를 해석하는 잘못된 사관 때문에 역사의 진실이 묻혀지는 것은 아닌지 ~~~~~~
한남금북정맥 부용지맥 국망분맥지도(수레의산-원통산-국망산)
한남금북정맥 부용지맥 국망분맥지도(하남치-보련산-무쇠봉)
보련산 등산로 안내판
보련산성 북동측 치성 앞 성안고개(성재)의 등산로 이정표
보련산성 북동측 치성 앞 성안고개(성재) 등산로
보련산성 북동측 치성터
보련산성 북동측 치성터
보련산성 북동측 치성터
보련산성 북동측 치성터에서 수룡폭포 계곡으로 이어지는 성벽
보련산성 북동측 치성터에서 수룡폭포 계곡 방향의 성문터
보련산성 북동측 치성터
보련산성 북동측 성터
보련산성 북동측 성터
보련산성 북동측 성벽
보련산성 북동측 성벽
보련산성 북동측 성벽
보련산성 북동측 성벽
보련산성 북동측 성벽
보련산성 북동측 성벽
보련산성 북동측 성벽
보련산성 북동측 성벽
보련산성 북동측 성벽
보련산성 북동측 성벽
보련산성 북동측 성벽
보련산성 북동측 성벽에서 바라본 앙성
보련산 정상 표지석
'역사란 그늘 아래서 > 자취를 밟으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월악신사와 와룡산성 (0) | 2011.11.08 |
---|---|
충주목의 특별관리지역 외서촌과 병암리 토성 (0) | 2011.11.05 |
보련산성 화전민터에서 (0) | 2011.10.29 |
유학산성을 찾아서 (0) | 2011.10.28 |
국립중앙박물관 거돈사지 원공국사 승묘탑에서 (0) | 2011.1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