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골어부의 녹재 답사기
오늘 오랜만에 280랠리 코스 답사를 위해 엄정면 일대를 다녀 왔다.
추평저수지 위의 미락골을 시작으로 엄정과 백운으로 연결되는 산길을
찾아 골짜기를 헤메고 다녔다.
91년도(?) 원곡소류지 공사관계로 이 지역에 처음 발길을 내딛었다.
무척 오래되서 ~~~
엄정면 골짜기를 구비구비 돌아서 산골짝이로 들어간 것으로 기억한다.
어부가 산악자전거를 시작하면서 다시 이곳을 찾아들었다.
처음에는 추평저수지를 일주하고 돌아갔다.
그 다음에는 축현으로 해서 게르마늄 채석장을 일주하고 돌아갔다.
그리고, 험악한 소림길을 올라 녹재 정상에 올랐다.
엄정 녹재구간의 도로공사가 한참 진행 중일때,
***님이 녹재를 넘어 귀래면 운남리의 다리골과
백운면 화당리의 뱃재가 연결되어 있다는 이야기를 듣고,
다시 비포장도로를 타고 녹재를 넘어갔으나 등산로 조차도 없어서
소태재로 돌아서 운남리 다리골을 다녀 왔었다.
그리고, 다시금 오기가 생겨서 녹재를 넘어 끌바를 하여
다리골을 경유하여 배재를 넘어 백운면 화당리에 입성을 하였다.
그러나, 얼마되지 않아서 소림구간이 확포장되더니,
다리골 구간까지 아스팔트로 확포장이 되어 버렸다.
어부가 찾아들 적마다 변신을 하는 녹재는
어부를 비웃는 것처럼 보였다.
하지만 녹재를 정복하면서
백운지역 임도의 답사가 시작되었다.
화당임도를 시작으로
도곡임도,금창리 임도를 찾아내고,
운학과 덕동임도를 지나 원주의 서곡임도와 매지임도 등등
엄정면 지명유래(유봉리와 가춘리)
⊙ 유봉-리(柳峰里)【리】엄정면 법정리동의 하나. 본래 충주군 엄정면의 지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유등리(柳等里), 중봉리(中峰里), 축현리(杻峴里)의 일부를 병합하여 유등과 중봉의 이름을 따서 유봉리라 함. 자연마을로 소림, 싸리재(축현), 수풍말(중봉), 버들골, 벌터, 막골 등이 있음.* 소림
●소-림【마을】유봉리에 딸린 자연마을의 하나. 추평리 원곡리를 지나 북쪽 끝에 위치함. 강원도와 제천시의 경계지역으로 화전을 일구면서 시작된 마을이라고 함.
●갈미-봉【산】소림의 서북쪽으로 있는 제일 높은 봉우리. 높이 504m.
●녹-재[서낭고개]【고개】소림 삼거리 북쪽으로 보이는 고개. 이 고개를 통해 강원도 원주시 귀래면 운남리로 다녔음. 사슴이 다니던 고개라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 함. 예전에 이 고개마루에 큰 참나무가 있어 서낭으로 모셨으므로 '서낭고개'라고도 함.
●덤-바우[노적바위]【바위】소림 안의 삼거리에서 녹재쪽으로 250m쯤 올라간 지점에 있는 바위. 모양이 노적가리 같아서 동네 노인들이 모여 '노적바위'라 부르자고 하기도 했다고 함.
●독바우-께【거리】원곡리에서 올라가다가 소림 지경에 들어서면서 있는 첫 번째 집 부근을 이르는 말. '독'같이 생긴 바위가 있다고 해서 부르는 이름이라고 함.
●머우밭-골【골짜기】소림 안의 삼거리에서 녹재(북북동쪽)로 오르면서 맨 끝 집 우측으로 있는 골짜기. 예전부터 이 골짜기에서 '머우'가 많이 난다고 함.
●법골-넴이【골짜기】소림에서 귀래재로 올라가는 골짜기. 이 골짜기를 따라올라가 귀래재를 넘으면 강원도 원주시 귀래면 운남리 법동으로 통하므로, '법동으로 넘어가는 골짜기'란 의미라고 함.[
|
] * 싸리재(축현)
●싸리-재2[축현]【마을】유봉리에 딸린 자연마을의 하나. 추평리 탑평 삼거리에서 우측으로 유봉리로 들어가 북쪽 끝에 위치한 마을. 약 400년 전에 밀양 박씨가 들어와 살면서 마을이 생겼다고 함.
●달-돋이【산등성이】싸리재 마을에서 동쪽(매봉재 우측 능선)으로 건너다 보이는 일대를 이르는 말. 저녘에 달이 돋아오르는 곳이라고 해서 부르는 이름이라고 함.
●막-고개[싸리재1]【고개】싸리재 마을 북서쪽 골짜기를 따라올라가 있는 고개. 소림으로 통하는 곳. 소림에서 올라가거나, 싸리재에서 올라가거나간에 제일 높은 곳에 위치하므로 여기부터 양쪽 마을로 '막중 내려간다'는 의미로 막고개라 불렀고, '싸리재'라고도 불림.
●법국-재【고개】싸리재 마을 서쪽 골짜기 위에 있는 고개. 이 고개에 밀양 박씨 집에서 지관을 불러 묘를 쓸 때, 땅을 파다가 평돌이 나와 들어내자 뻐꾹새가 울면서 날아갔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 함.
●수리-바우【바위】매봉재 정상 바로 아래에 보이는 바위. 천지개벽 때, 대홍수가 있었고, 그 때 수리 한 마리 앉을 만큼의 바위가 남아 있었는데 그 바위가 바로 '수리바위'라는 전설이 있음.
* 수풍말(중봉)
●수풍-말[중봉]【마을】유봉리에 딸린 자연마을의 하나. 유봉리 마을 유래비를 지나 싸리재로 가는 도중에 우측으로 있는 마을.
●널-웃말【옛마을】수풍말에서 서쪽으로 볼 때, 길 건너편 작은 골짜기에 있던 마을.
●삔대-바위【산등성이】수풍말에서 서쪽 널웃말을 볼 때, 널웃말 우측 비탈 부분을 이르는 말.
* 버들골
●버들-골2【마을】유봉리에 딸린 자연마을의 하나. 유봉 마을자랑비가 있는 곳에서 북쪽으로 골짜기를 따라들어가 있는 마을.
●꽃재-봉【산】마을 입구에서 북쪽으로 마을을 볼 때, 마을 진입로 좌측으로 있는 봉우리. 수풍말과 버들골 사이에 위치함. 꽃이 많이 핀다고해서 붙여진 이름이라 함. 높이 251m.
●담-안【마을】버들골 마을 중에서도 맨 위쪽에 집이 몇 채 있는 곳을 이르는 말.
●막-골【마을】유봉리에 딸린 자연마을의 하나. 벌터에서 보아 서남쪽으로 집이 몇 채 있는 곳.
●벌-터【마을】유봉리에 딸린 자연마을의 하나. 유봉리 마을자랑비가 있는 부근의 마을. 시내버스 종점이 있음.
●애경-바위【바위】사실미골을 따라들어가 말머리산 중턱에 있는 바위. 애기를 낳으려면 이곳에서 빌면 된다는 말이 있음.
[
|
]
⊙ 가춘-리(佳春里)【리】엄정면 법정리동의 하나. 본래 충주군 엄정면의 지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상주리(上酒里), 하주리(下酒里), 가양리(佳陽里), 백야동(白也洞)과 춘문동(春門洞) 일부를 병합하여 가양과 춘문의 이름을 따서 가춘리라 함. 행정리동으로 춘문, 가양, 주동이 있음.* 춘문
●춘-문【마을】가춘리 행정리동의 하나. 추평저수지 좌측에 있는 마을. 자연마을로 대갑, 배대가 있었으나 추평저수지 건설로 없어짐. 이에 딸린 자연마을로 현재 가느계가 있음.
●가느-계【마을】춘문에 딸린 자연마을의 하나. 춘문에서 유봉리로 올라가다가 우측으로 있는 마을.
●대-갑【마을】춘문에 딸린 자연마을의 하나로 유봉천과 원곡천이 합류하는 지점 사이에 있었음. 추평저수지 건설로 인해 지금은 없어짐.
●배-대【마을】춘문에 딸린 자연마을의 하나로 진등이산 아래에 독립가옥이 있었음. 추평저수지 건설로 인해 지금은 없어짐.
* 가양
●가-양【마을】가춘리 행정리동의 하나. 진등이를 넘어 추평저수지 끝 부분과 북쪽으로 투수골을 따라 형성된 마을. 이에 딸린 자연마을로 술옛말, 작은투수골, 큰투수골, 무두치가 있음.
●말머리-산【산】큰투수골에서 무두치로 올라가다가 좌측(서쪽)으로 있는 봉우리. 높이 447m. 말머리 모양의 돌이 있었다고 하는데, 돌광산을 하면서 깼다고 함.
●무두-치[무주치(無酒峙)]【마을】가양에 딸린 자연마을의 하나. 술옛말에서 북쪽으로 투수골을 따라올라가 큰투수골을 지나 골짜기 끝부근에 있는 마을. 예전엔 화전민들이 많았으나 지금은 한 채만 남아 있음.
●술-옛말【마을】가양에 딸린 자연마을의 하나. 추평저수지 끝에 위치한 마을.
●작은-투수골【마을】가양에 딸린 자연마을의 하나. 가양과 주동 사이에 북쪽으로 있는 골짜기 안에 들어앉은 마을.
●큰-투수골【마을】가양에 딸린 자연마을의 하나. 술옛말에서 북쪽으로 투수골을 따라 올라가다가 1㎞쯤에 있는 마을.
●허밭-삐뚫이【산등성이】큰투수골 서쪽으로 있는 산의 산등성이.* 주동
●주-동1【마을】가춘리 행정리동의 하나. 추평저수지 윗부분에서 술옛골천을 따라 형성된 마을. 자연마을로 강승갱이, 미락골, 득골, 주동이 있음.
●강승갱-이1【마을】주동에 딸린 자연마을의 하나. 주동 마을에서 술옛골천을 따라 계속 올라가 끝에 있는 마을.
●득-골【마을】주동에 딸린 자연마을의 하나. 주동 마을에서 술옛골천을 따라 강승갱이로 가다가 길 좌측으로 늘어선 마을.
●면화-동【마을】→ 미락골2. 동학농민전쟁 때 화를 면한 곳이라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 함.
●미락-골2[면화동]【마을】주동에 딸린 자연마을의 하나. 주동 마을에서 술옛골천을 따라 올라가다가 득골 직전에서 우측 골짜기로 따라들어가 있는 마을.
●주-동2【마을】주동에 딸린 자연마을의 하나. 추평저수지 윗부분에 있는 마을로 주동 전체의 입구에 해당됨.
'잔차를 타고 > 남한강과 충주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성리 자연휴양림 임도 (0) | 2008.06.18 |
---|---|
280랠리와 인등산 (0) | 2008.06.18 |
2008년 280랠리 코스에 대하여 (0) | 2008.04.17 |
[산악자전거] 남한강 투어링 코스 (0) | 2008.01.12 |
[스크랩] 충주호 100마일 라이딩 우회코스(쇠시리재) (0) | 2007.1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