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산 471.9m (馬耳山) 또는 망이산(望夷山)은
안성시 일죽면과 음성군 삼성면의 경계에 위치하는 산으로
동국여지승람에는 옛 죽산현의 관할로 망이산성(望夷山城)과
망이산 봉수대가 있는 곳으로 기록되어 있다.
망이산(望夷山)은 오랑캐(夷)를 바라보는(望) 산(山이)라는 뜻이라고 한다.
이는 망이산(望夷山)을 현재의 한자표기로 해석한 것으로 오랑캐(夷)에 대한 해석은
동이족 뿐만 아니라 고구려.백제.신라 중 이 지역을 지배한 주체에 따라 달리 해석된다.
그러나, 망이산이란 이름에서 고려 무신정권시대에 공주의 명학소(현재 대전)에서
일어난 망이.망소이의 난을 일으킨 망이와 망소이가 연상되기는 하지만,
망이산과 망이와 망소이의 난은 큰 연관성이 없어 보인다.
망이산은 망이산 봉수대처럼 옛 설성지역인 이천과 음성 일대를 조망하는 곳이 아닐까 한다.
망이산은 이천의 유래인 "이섭대천(利涉大川)"과는 무관하지만 이천으로 볼 수도 있지만,
그보다는
북쪽으로 마주하는 마국산(445m)의 유래에서 마한의 산이라는 뜻으로 마국산(馬國山)이라고 부르는 것처럼 마이산(馬耳山)으로 추정하는 것이 더 나을 것 같다. 또한, 마국산은
사람이 되고 싶은 여우와 99골짜기의 전설이 있으며,
마국산은 마고산. 마속산. 마옥산,오음산 등으로 불리우기도 하는데,
마고산에서 마고선녀나 마고할미 등의 전설은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중국에도 산재하는 설화로 모계사회나 창조의 신으로도 해석된다.
충주의 보련산성과 장미산성의 남매전설과 남산의 마고선녀전설도그와 맥락을 같이하며, 형성시기는 원삼국시대로 추정된다.여기서 마이산. 마국산. 마고산. 마구산(용인 말아가리산) 등도원삼국시대의 마한을 지칭하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매산사 가는 길
매산사 가는 길 중턱의 소나무
매산사의 불상
매산사 전경
매산사 위 북문터와 치성
마이산 북쪽 정상의 헬기장
망이산성 치성터
망이상성 내 공사용 도로
망이산성 서문지 우물터
산악 오토바이 매니아들
보호구를 착용하지 않아서 인지 좀 ~~~
망이산성 남문 치성터
남문 우물터와 쉼터
우물터의 냄비와 쓰레기들 ~~~~~
남문에서 바라 본 삼성저수지와 덕정 저수지
남문터에서 바라본 한남금북 정맥의 칠장산 줄기
아버지가 태어난 할아버지 동네를 바라보는 우리 마나님~~~
마이산 정상 표지석(원조)-마이산에는 삼성과 일죽 그리고 도청에서 설치한 표지석이 3개나 있다.
마이산 정상의 삼각점
마이산 중간 지점의 헬기장과 등산로
'역사의 뒤안길에서 > 옛날 기록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탄금대의 흐느낌 (0) | 2011.02.17 |
---|---|
임진왜란과 달천몽유록 (0) | 2011.02.17 |
달천강은 감물내를 흐르는 강이다. (0) | 2010.07.17 |
봉황산 봉황대 - 할미바위 전설 (0) | 2010.04.28 |
국망산과 명성황후 (0) | 2008.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