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광 백수읍 논산리의 지명유래
논산-리(論山里)
<논매기, 노내기, 논산, 노해기>『리』본래 영광군 영마면의 지역으로서 논매기, 노내기 또는 논산, 노해기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페합에 따라 만년리, 월산리, 하논리, 명산리 일부와 봉산면의 평정리, 용호등의 각 일부와 관산면의 내황리 일부 지역과 구수면의 채동을 병합하여 논산리라 하여 백수읍에 편입됨.
가매-배미『논』갓무배미 밑에 있는 논.
갓모배미『논』수랑샘 남쪽에 있는 논. 갈모처럼 생겼음.
고라-실『논』물쳇배미와 중수통 사이에 있는 논. 지대가 낮아서 물대기가 좋음.
고부랑-배미『논』바우배기 밑에 있는 논. 고부랑하게 굽었음.
괸-바구『바위』바우배기에 있는 바위.
구전-배미(九田-) 『논』노내기 앞에 있는 논.
금-정1(金井) <쇠새미> 『마을』월산 북쪽에 있는 마을.
금-정2(金井)『우물』→소새미2
내리-가리『들』용호동 서쪽에 있는 들.
노니끈-다리『다리』→ 노내기다리.
노내기『마을』→ 논산리.
노내기-다리<노나끈다리, 논해교>『다리』노내기 앞에 있는 다리.
노내기들(야(野)) 논산리 들.
노해기『마을』→ 논산리.
논-매기『마을』→ 논산리.
논-산(論山)『마을』→ 논산리.
논해-교『다리』→ 노내기 다리.
동-호<소새미>『마을』논산 서쪽에 있는 마을. 소새미가 있음.
또깨비-둠벙『둠벙』금정 서쪽에 있는 둠벙. 날이 궂으면 도깨비불이 났다 함. 지금은 매워서 논이 되었음.
만년-동『마을』월산 북쪽에 있는 마을.
목새-배미『논』중수통 동쪽에 있는 논. 큰 물이 져서 목새(모래)가 많았음.
물챗-배미『논』수통배미 밑에 있는 논. 봇물이 나가는 목이 됨.
바우-배기『들』진거리 서쪽에 있는 들. 바위가 박혔음.
바웃-등『등』채동리 동쪽에 있는 등성이. 바위가 있음.
새기-배미『논』채동리 앞에 있는 논.
새-새암『우물』동호에 있는 샘.
소-새미1『마을』→ 동호.
소-새미2<금정>『우물』동호 앞. 논에 있는 샘. 쇠솥 뚜껑을 놓아도 솟을 만큼 물이 잘 남.
쇠-새미『마을』→ 금정1
수랑-골『마을』청룡동 남쪽에 있는 논, 수량(수렁)이 있음.
수랑-샘『논』채동리 서쪽에 있는 논. 수통이 있음.
수통-배미『논』중수통에 있는 논. 수통이 있음.
아릿-노내기<하논리>『마을』논매기 아래쪽에 있는 마을.
용호-동(龍虎洞)『마을』청룡동 서남쪽에 있는 마을.
용호-새암『우물』용호동에 있는 우물.
웃-새내기『마을』노내기 위쪽에 있는 마을.
월-산(月山)『마을』청룡동 남쪽에 있는 마을.
월산-새암『마을』월산에 있는 우물.
중-보(中洑)『보』금정 서북쪽에 있는 보.
중보-통『들』중보가 있는 들.
중수-통『들』중보통 위쪽에 있는 들.
진-거리『들』금정 서쪽에 있는 긴 들.
진-잔등1『마을』→ 진등1.
진-잔등2『등』→ 진등2.
채동-리(釵洞里)『마을』청룡동 서쪽에 있는 마을. 금채낙지형(金釵落地形)의 명당이 있다 함.
청룡-동(靑龍洞)『마을』금정 동남쪽에 있는 마을.
청룡-새미『우물』청룡동 있는 우물.
토-성(土城)『마을』쇠새미 동북쪽에 있는 마을. 옛 토성이 있음.
파랑-골『골』토성 동북쪽에 있는 골짜기.
하-논리(下論里)『마을』→ 아릿노내기.
인천 답동(沓洞)의 유래
답동(沓洞)은 구한말 인천부 다소면 선창리에 속해 있던 땅이다. ‘논골’이라 불리던 동네로, 1903년 8월 인천부에 부내면이 생길 때 한자로 이름을 바뀌어 답동이 됐다. 논 답(沓)를 쓴 것은 ‘논골’의 논을 농사를 짓는 논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인천항이 개항하기 전까지 이곳은 대부분 논 이었다고 하며, 바닷가 쪽으로는 지금처럼 매립되기 전까지 염전이 있어서 염벗말, 곧 소금밭이라는 불리던 마을도 있었다고 한다. 하지만 바닷물이 들어오는 마을에 방죽도 없이 논이 많이 있었다고 보는 것은 상식적으로 받아들이기 어렵다. 이 때문에 국어학자들은 ‘바다 쪽으로 늘어져있는 마을’ 곧 ‘는골’이라 불렸으며 능골, 농골, 논골의 변화를 거쳐 동네 이름이 생긴 것으로 본다.이 일대 언덕배기에서 바다 쪽으로 차츰 낮아지며 늘어져 내려간 땅이어서 생긴 이름인 것이다.
남양주 화도읍 답내리의 지명유래
답내리(沓內里)
조선시대부터 한말까지 양주군 상도면의 지역이었다 1914년 답동(沓洞)의 '답(沓)'자와 내동(內洞)의 '내(內)'자를 따서 답내리라 하여 화도면에 편제되었다. 1991년 12월 1일 화도면이 화도읍으로 승격하자 이에 편제되었다 '내동'은 답동 북쪽에 있는 마을로서 안으로 쭉 들어가서 형성된 마을이어서 '내동'이라 불리고 '답동'논골'은 논이 마을 앞으로 펼쳐져 있어서 논 마을 이라는 의미의 '답동(沓洞)'이라 불린다. 순 우리말 이름인 '논골'이라 불리 기도 한다.
동해시 논골의 지명유래
논골
묵호항 북쪽에 있는 마을로 산 중턱이 되는데 옛날 산 중턱에 논이 있어서 생긴 이름이다.
춘천 강촌 논골의 지명유래
논골
답동(沓洞)이라고도 부른다. 논이 많은 마을.
포항 죽장면 지동리 논골의 지명유래
논골(畓谷)
도로가 교차하는 곳에 위치하며 옛날에 논이 많지 않던 시절에 비교적 논이 많은편이었다 하여 붙여진지명이라 한다. 뱃고개 쪽 도로변에 느티나무 2그루가 남아 있다. 평구현 산록에는 영양이씨 열녀각이있다.
여수 화정면 낭도리 답동의 지명유래
답동(沓洞)
여산마을 남동쪽 약 1.8km 지점에 마을로 논이 많은 들에 마을이 있다 하여 답동으로 불러왔으나 지금은 모두 큰 마을로 이주하여 사람이 살고 있지 않음.
제주 애월면 귀일리 답동의 지명유래
답동(沓洞)
이 동네 주위에는 논밭이 있기로 처음 [논골]이라 불리우던 것이 후에 한자표기에 의하여 [답동]이라 호칭함.
'역사의 뒤안길에서 > 옛날 지명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구려 옛지명과 국원성의 영역에 대하여 (0) | 2013.12.19 |
---|---|
국망산(國望山)과 국망봉(國望峰)의 지명유래 (0) | 2013.12.11 |
노현(老峴)과 논현(論峴)의 유래에 대하여 (0) | 2013.11.11 |
탄항산(월항산)을 오르며 (0) | 2013.04.29 |
[스크랩] 마고성과 충주산성 (0) | 2013.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