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성 칠장산에서 분기한 금북정맥과
만뢰산에서 분기하는 만뢰지맥을 잔차로 가고싶다.
금북정맥과 만뢰지맥은 산세가 완만하고 암릉지대가 없어
몇몇 엠티비매니아들이 칠장산에서 덕성산에 이르는 코스와
서운산과 만뢰산 코스를 다녀간 적이 있다.
그리고, 이 구간에는 임도가 잘 조성되어 싱글코스와 연계 라이딩이 용이하다.
코스 개념도
광혜원-칠장사-칠장산 등산로-칠현산 등산로-덕성산 등산로-덕성산 임도-무이산 임도-
천룡CC-화산저수지-무제봉 임도-배티-석남사-서운산 등산로-서운산성-서운산 임도-
청룡저수지-엽돈재-구수리-만뢰산 임도-만뢰산 등산로- 사자산 등산로-상계리 임도-
진천-이월-광혜원
금북정맥
백두대간 속리산 천황봉에서 분기하여 한강(총 길이494.5km)과 금강(총 길이410km)의 분계수를 이루며
충청북도를 북서방향으로 이어지던 한남금북정맥은 경기도 안성의 칠장산에 이르러 다시 금북정맥과 한남정맥으로 분기되어
한남정맥은 한강 이남의 경기도를 북서 방향, 김포 문수산에 이르러 그 맥이 한강하구에서 마치고(도상거리178.5km),
남서방향으로 분기한 금북정맥은 금강 이북의 충청남도의 정 중앙으로 통과하며 도상거리 282.4km로서 남쪽으로는 금강과 분수계를 이루며 북쪽으로는 안성과 평택의 안성천, 천안 아산의 곡교천, 홍서, 청양, 무한천, 홍성, 당진의 삽교천과 분수계를 이루어 모두 아산만으로 흐르고 태안의 지령산에서 안흥만으로 그 맥을 가라앉히는 큰 산줄기입니다.
칠장산에서 분기한 금북정맥은 남서방향으로 안성의 서운산(547.7m)를 넘으며 경기도를 벗어나 천안의 성거산(556.5m)를 넘으며 충청남도에 들어서고 천안의 태조봉(442m)를 넘어 경부고속도로를 건너 고려산과(307m) 국사봉(407m)을 넘어 공주의 차령을 건너 아산의 봉수산을 넘고 청양의 문박산(337.8m)과 오봉산(489m)으로 이어지며 호서의 최고 지역을 지나게 되고 보령의 백월산(554m)에서 다시 분기하여 북서방향으로 이어지고 서해안 최고봉인 오서산(790.7m)의 어깨를 짚고 넘으며 장곡에 내려서며 잠시 숨을 고르듯 비산비야의 구릉지대를 도상거리 15km정도를 이어오던 금북정맥은 홍성의 일월산(396.6m)을 오르며 다시금 솟구치며 예산의 수덕산(495m)과 가야산(677.6m)에 오르게 된다. 가야산을 넘어 서해안고속도로를 지나 서산의 성왕산(252m)과 금강산(316m)을 넘고 태안의 백화산(294m)를 넘으며 서서히 고도를 낮추며 이어지다가 지령산을(218.2m)를 넘으며 태안반도 해안국립고원인 안흥만에 이르러 그 큰 맥을 가라앉히며 금북정맥을 마감하게 됩니다.
고속국도를 세 번 건너게 되고, 많은 국도와 지방도 또 군부대와 목장지대를 지나지만 백제의 숨결을 느끼며 칠장산의 칠장사, 서운산의 청룡사 태조 이성계가 올라 감탄했다는 천안의 태조산과 옛 호서의 고개인 차령고개 역사 깊은 가야산의 수덕사와 개심사 백화산의 봉수대지등 무수히 많은 유적지를 지나게 된다.
만뢰지맥은?
만뢰지맥은 금북정맥의 서운산에서 남쪽으로 5.1km 떨어진 엽돈재(34번국도) 남쪽 200m에서 분기하여 서남진하면서 만뢰산( 612.2m.일부 지도엔 만근산으로 표기),덕유산(德裕山.412m),환희산(歡喜山. 402.2m),취령산(鷲嶺山.목령산(鶩嶺山 .229.1m.)을 일구고 취령산(목령산)에서 방향을 바꿔 서남진하며 다시 상봉산(196m),국사봉(國師峰.171m)을 일구고 경부고속도로를 건넌후 마지막으로 응봉산(175.4m)을 들어 올린후 청주시를 바라보며 미호천 그 맥을 다하는 도상거리 49.5km의 산줄기를 말한다.이산줄기를 지나는 산들중 제일높은 산인 만뢰산의 이름을 따서 만뢰지맥이라고 박성태님이 신 산경표에서 표기하고 있으므로 본인도 그렇게 표기한다.
만뢰지맥의 동쪽으로 흐르는물은 백곡천이나 성암천이 되어 미호천으로 흘러들고 서쪽물은 병천천(46.75km)이 되어 충남의 천안시 북면, 병천을 거쳐 충북의 오창과 옥산면을 거쳐 청원군 강외면에서 미호천(89.20km)에 합류되어 서남진하여 연기군 동면 합강에서 금강(397.79km)에 합류하여 공주로 흘러간다.
전체적인 길의 상태는 길이 없거나 있다해도 동네사람들이 나물이나 버섯을 따러 드나드는 길이라서 있다 없다를 반복한다.작은 지능선이 사방 팔방으로 갈라지고 수시로 방향을 바꿔서 위치 파악하기가 매우 어렵다.다만 분기점에서 만뢰산구간, 환희산정상부,취령산(목령산)에서 삽티고개는길이 분명하고 그외는 길이 희미하거나 아예 길이없는 잡목과 가시덤불로 진행에 애를 먹는다.긴팔은 물론이고 헌옷에 허벅지나 정갱이를 보호하는 보호대를 차는 것이 좋다.되도록이면 녹음기가 아닌 가을에서 봄사이에 하는 것이 좋을것이다.
청주 블루이글스의 박필순(바람)님의 자료)
'잔차를 타고 > 달천과 미호천' 카테고리의 다른 글
8월 10일 만뢰산 달빛산행 (0) | 2008.08.11 |
---|---|
8월 8일 서운산 산행기 (0) | 2008.08.10 |
9월 16일 승주고개 투어 후기 3 (0) | 2007.09.19 |
[스크랩] Re:음성 꽃동네 MTB 코스(수정) (0) | 2007.09.19 |
9월 16일 승주고개 투어후기 2 (0) | 2007.09.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