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름달(자료사진)
검단과 흑평에 대하여
검단(黔丹)이란 지명도 전국에 수없이 많이 산재한다. 대표적인 곳이 남한산성이 있는 하남시의 검단산이다. 그리고, 김포의 검단의 유래에선 검, 감, 금, 김 등이 혼재하여 나타난다, 충주의 지명유래에서도 충주시 대소원면 검단리(檢丹里)가 고지도나 고문서에서는 검단(黔丹)으로 표기되어 있다. 검단리에 인접한 완오리에는 흑평(黑平)이란 지명이 있는데, 검단리와 완오리는 고려시대에 대몽항전의 승리로 충주의 국원경과 더불어 익안현으로 승격되었던 곳이다. 흑평이란 지명은 진천의 옛지명인 금물노와 흑양처럼 큰뜰 또는 검은뜰이라는 뜻이고, 대소원면의 검단리(黔丹里)에서 검(黔)자는 주로 지명에 쓰이는 것으로 검(黔)으로도 읽고, 금(黔)으로도 읽는다. 검단(黔丹)을 해석함에 있어 수많은 추정이 제기될 수 있지만, 그 중에서 달천 또는 금천의 유래와 가장 밀접한 것이 아닌가한다. 검단(黔丹)에서 검(黔)은 크다는 의미와 검다는 의미로 생각할 수도 있지만, 검(黔)은 본래 지명을 가차한 것이기에 금(今), 금(金), 김(金) 등으로도 해석할 수 있다.
단군왕검(檀君王儉)에서 검(儉)은"검소하다."라는 오늘날의 의미가 아니라, "크다."라는 의미로 "한배검"처럼 쓰인다. 검단리(黔丹里)가 검단리(檢丹里)로 변한 것도 일제강점기 때로 추정된다. 진천군은 고구려 때의 명칭이 "금물노"인데, 신라 때에는 "흑양군"으로 바뀐다. 단재 신채호의 조성상고사에서 흑양은 "검은뜰"로 해석된다. 검단(黔丹)과 단월(丹月)에서 "검다."와 "붉다."라는 단순한 색깔보다는 대천(大川)의 끝자락인 검단(儉端)으로 표기할 수도 있고, 흑평의 끝자락 또는 가장자리에 있다는 뜻인 검단(黔端)에서 생겨난 지명일 수도 있다.. 달천에는 "거무내"와 "감물내"라는 옛지명이 있는데, 감물내미는 괴산군 감물면의 옛지명으로 고려시대에 나타나는 가장 오래된 지명으로 감물내미부곡에서 유래한다. 삼국사기에 등장하는 괴산군의 옛지명인 잉근내와 음성군의 옛지명인 잉홀이 존재한다. 잉근내와 감물내가 달천의 유래의 근원이 아닐까하는 추정도 할 수 있다. 괴산,음성,진천은 인접지역으로 역사적 배경도 비슷하다.
달천의 유래에서 감천(甘川), 달천(獺川), 달천(達川), 덕천(德川), 월천(月川), 산천(汕川) 등이 혼재하여 전국에 있는 달천과 감천의 유래는 모두 다 갖다가 놓은 지명이 되었고, 최근에는 달래내 고개의 전설까지도 유입되어 음담패설로 회자되고 있다. 달천의 유래에서 고려시대의 지명이었던 감물내미부곡(甘勿內彌部曲)의 감물(甘勿)과 고려사절요(1932년) 충주노군의 난에 나오는 달천(達川)과 기우자 이행의 고사에 나오는 달천수(達川水)를 제외하면 나머지 유래들은 후대에 타지역 민담이거나 달천의 유래가 와전된 것으로 추정된다. 어찌보면 달천(達川)의 유래를 찾는다는 것은 불가능할지도 모르지만, 검, 감, 금, 김 등의 유래를 거슬러 올라가면 큰내라는 대천(大川) 또는 한천(漢川)이라는 뜻일 뿐이다. 즉 큰개울와 큰들이라는 의미가 역사적 배경과 지역의 특색에 따라 변천하여 오늘날의 지명으로 나타난 것이다.
검단(黔丹)으로 표기된 지도
黔
검을 검, 귀신 이름 금
획수 16 부수 黑(검을흑, 12획)
I.
I.검다.
三國史記 第 三十五卷(삼국사기 제 35권)_
126.新羅(신라) / 地理 二
中原京(중원경) : 중원경은
本高句麗國原城(본고구려국원성) : 원래 고구려의 국원성으로서
新羅平之(신라평지) : 신라가 이를 평정하여
眞興王置小京(진흥왕치소경) : 진흥왕이 소경을 설치하였고,
文武王時築城(문무왕시축성) : 문무왕 때 여기에 성을 쌓았는데,
周二千五百九十二步(주이천오백구십이보) : 둘레가 2천 5백 92보였다.
景德王改爲中原京(경덕왕개위중원경) : 경덕왕이 중원경으로 개칭하였다.
今忠州(금충주) : 지금의 충주이다.
槐壤郡(괴양군) : 괴양군은
本高句麗仍斤內郡(본고구려잉근내군) : 원래 고구려의 잉근내군이었던 것을
景德王改名(경덕왕개명) :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今槐州(금괴주) : 지금의 괴주이다.
泝川郡(소천군) : 소천군은
一作沂(일작기) : 기(沂)로도 쓴다.
本高句麗述川郡(본고구려술천군) : 원래 고구려의 술천군이었던 것을
景德王改名(경덕왕개명) :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今川寧郡(금천녕군) : 지금의 천령군이다.
領縣二(령현이) : 이 군에 속한 현은 둘이다.
黃驍縣(황효현) : 황효현은
本高句麗骨乃斤縣(본고구려골내근현) : 원래 고구려의 골내근현이었던 것을
景德王改名(경덕왕개명) :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今黃驪縣(금황려현) : 지금의 황려현이다.
濱陽縣(빈양현) : 빈양현은
本高句麗楊根縣(본고구려양근현) : 원래 고구려의 양근현이었던 것을
景德王改名(경덕왕개명) :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今復故(금복고) : 지금은 옛 이름으로 회복되었다.
黑壤郡(흑양군) : 흑양군은
一云黃壤郡(일운황양군) : 황양군이라고도 한다.
本高句麗今勿奴郡(본고구려금물노군) : 원래 고구려의 금물노군이었던 것을
景德王改名(경덕왕개명) :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今鎭州(금진주) : 지금의 진주이다.
領縣二(령현이) : 이 군에 속한 현은 둘이다.
都西縣(도서현) : 도서현은
本高句麗道西縣(본고구려도서현) : 원래 고구려의 도서현이었던 것을
景德王改名(경덕왕개명) :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今道安縣(금도안현) : 지금의 도안현이다.
陰城縣(음성현) : 음성현은
本高句麗仍忽縣(본고구려잉홀현) : 원래 고구려의 잉홀현이었던 것을
景德王改名(경덕왕개명) :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今因之(금인지) :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栗津郡(률진군) : 율진군은
今高句麗栗木郡(금고구려률목군) : 원래 고구려의 율목군이었던 것을
景德王改名(경덕왕개명) :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今菓州(금과주) : 지금의 과주이다.
領縣三(령현삼) : 이 군에 속한 현은 셋이다.
穀壤縣(곡양현) : 곡양현은
本高句麗仍伐奴縣(본고구려잉벌노현) : 원래 고구려의 잉벌노현이었던 것을
景德王改名(경덕왕개명) :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今黔州(금검주) : 지금의 금주이다.
孔巖縣(공암현) : 공암현은
本高句麗濟次巴衣縣(본고구려제차파의현) : 원래 고구려의 제차파의현이었던 것을
景德王改名(경덕왕개명) :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今因之(금인지) :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邵城縣(소성현) : 소성현은
本高句麗買召忽縣(본고구려매소홀현) : 원래 고구려의 매소홀현이었던 것을
景德王改名(경덕왕개명) :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今仁州(금인주) : 지금의 인주이다.
一云慶原買召(일운경원매소) : 경원매소
一作彌鄒(일작미추) : 또는 미추라고도 한다.
長堤郡(장제군) : 장제군은
本高句麗主夫吐郡(본고구려주부토군) : 원래 고구려의 주부토군이었던 것을
景德王改名(경덕왕개명) :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今樹州(금수주) : 지금의 수주이다.
領縣四(령현사) : 이 군에 속한 현은 넷이다.
戍城縣(수성현) : 수성현은
本高句麗首尒忽(본고구려수이홀) : 원래 고구려의 수이홀로서
景德王改名(경덕왕개명) : 경덕왕이 개칭하였다.
今守安縣(금수안현) : 지금의 수안현이다.
金浦縣(금포현) : 김포현은
本高句麗黔浦縣(본고구려검포현) : 원래 고구려의 금포현이었던 것을
景德王改名(경덕왕개명) :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今因之(금인지) :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고려사절요/권십육/고종 안효대왕/임진 19년(1232)
壬辰十九年(임진십구년) : 임진 19년(1232)
宋紹定五年(송소정오년) : 송 소정 5년
金天興元年(금천흥원년) : 금 천흥(天興) 원년
蒙古太宗四年(몽고태종사년) : 몽고 태종 4년
九月(구월) : 9월에
三軍平忠州而還(삼군평충주이환) : 삼군이 충주를 평정하고 돌아왔다.
三軍初至達川(삼군초지달천) : 삼군이 처음 달내[達川]에 이르렀을 때,
水深未涉(수심미섭) : 물이 깊어 건너지를 못하고
方造橋(방조교) : 막 다리를 만들려고 하는데,
奴軍賊魁(노군적괴) : 노군(奴軍)의 적괴
二三人(이삼인) : 2, 3명이
隔川告曰(격천고왈) : 시내의 건너편에서 고하기를,
吾等(오등) : “우리가
欲斬謀首出降(욕참모수출항) : 주모자의 목을 베어 와서 항복하려 합니다." 하였다.
李子晟等曰(리자성등왈) : 이자성 등이 말하기를,
如此則(여차칙) : “만약 그렇게만 하면
不必盡殺汝輩也(불필진살여배야) : 꼭 너희를 다 죽이지는 않으리라." 하였더니,
賊還入城(적환입성) : 적이 도로 성중으로 들어가
斬僧牛本以來(참승우본이래) : 중 우본(牛本)의 목을 베어왔다.
官軍留屯二日(관군류둔이일) : 관군이 머물러 이틀을 진치고 있었는데,
奴軍勇健者(노군용건자) : 노군 중에서 용맹하고 건장한 자들은
皆逃匿(개도닉) : 모두 달아났다.
官軍入城(관군입성) : 관군이 성에 들어가
擒支黨悉誅之(금지당실주지) : 나머지 당을 잡아서 모두 죽이고
以所獲財物牛馬(이소획재물우마) : 얻은 재물과 마소를 가지고
來獻(래헌) : 와서 바쳤다.
지명유래 ▶ 이류면
【
】
유 래 |
▣ 이류-면(利柳面)【면】충주시 13면의 하나. 본래 충주군의 지역으로서, 이안면(利安面)이라하여 천동(川東), 금곡(金谷), 당저(堂底), 거곡(巨谷), 상검단(上檢丹), 하검단(下檢丹)의 6개 리를 관할하다가, 그 후 천동리를 빼고, 영평(永平), 두산(斗山), 대소(大召), 마치(馬致), 장재동(長摘), 성종(城宗), 부연(釜淵), 독동(篤洞), 본리(本里), 노옥(老玉), 흑평(黑坪), 불방(佛坊), 주정(酒井), 가정(佳亭)의 14개 리를 더하여 19개 리로 개편 관할하다가, 1914년 4월 1일 군면 폐합에 따라 유등면(柳等面)의 만적(萬積), 독정(篤井), 두담(豆潭), 소용(所用), 궁동(弓洞), 탄동(炭洞), 산정(山井), 내포(內浦), 수현(修峴), 기동(基洞), 매산(梅山), 장승(長承), 월은(月隱), 수주(水周), 문박(文朴), 팔봉(八峰), 즉문(卽文), 하담(河潭)의 18개 리를 병합하여 이안면과 유등면의 이름을 합하여 이류면(利柳面)이라하여 검단(檢丹), 금곡(金谷,) 대소(大召), 두정(豆井), 만정(萬井), 매현(梅峴), 문주(文周), 본리(本里), 영평(永平), 완오(完五), 장성(長城), 탄용(炭用), 하문(河文)의 13개 리로 개편 관할하다가 1973년 7월 1일에 대통령령 제6542호〔1973, 3, 12공포(公布)〕로 하문리는 괴산군(槐山郡) 불정면(佛頂面)으로 편입되었다. 동쪽은 충주시 달천동, 살미면, 상모면, 괴산군 장연면, 남쪽은 괴산군 감물면과 불정면, 서쪽은 주덕읍, 북쪽은 가금면에 각각 닿음. 충주시와 중원군은 1956년에 분리되었다가 다시 1995년에 충주시와 중원군이 통합 충주시로 단일 행정구역이 되었음. |
[
|
]
⊙ 검단-리(檢丹里) [검단]【리】이류면 법정리동의 하나. 본래 충주군 이안면(利安面)의 지역으로서 검단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상검리(上檢里)와 하검리(下檢里)를 병합하여 검단리라 해서 이류면에 편입됨.* 상검단
●상검단-이【마을】검단리에서 서쪽으로 있는 마을. 검을 클거(巨)로 해석하기도 함.
●바우-밖【마을】상검단리에 북서쪽에 있는 마을.
●바우-안【마을】상검단리에 북서쪽에 있는 마을.
●삼봉-산【산】상검단리와 하검단리에 걸쳐 있는 산으로 이산에 묘를 쓰고난 다음에 아들이 태어나면 임금이 되고, 딸이 태어나면 역적이 된다함. 전설에 의하면 "삼봉산에 묘를 쓴 어느 집에 딸이 태어나자 곧 죽일려고 하다가 3일 있다가 죽이려고하여 3일이 되어 죽이고자 하였으나 딸이 태어난지 3일만에 말하기를 아들이나 딸이나 똑같은 목숨이라하여 부모는 차마 딸을 죽이지 못하였다." 그후 딸은 장성하여 반란을 일으켰다고 함.
●주정-동【골짜기】주정동에 있는 샘. 양반이 가면 약주가 나오고, 상놈이 가면 탁주가 나옴. 이에 상놈이 샘을 메워버렸다는 전설이 있음.
* 하검단
●하검단-이【마을】충주 산업대학에서 동쪽으로 흐르는 요도천과 달천강 사이에 위치한 마을. 먹검단이라고도 부름.
●상중-말【마을】충주 산업대학교가 자리잡고 있음.
●황새-부리【산】충주 산업대교 기숙사 옆산으로 옛날에는 갈대 밭이었음. [
|
]
⊙ 완오-동(完五洞)【리】이류면 법정리동의 하나. 본래 충주군 이안면(利安面)의 지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흑평(黑坪), 불방(佛坊), 거리(巨里), 주정(酒井), 가정(佳亭)의 5개 동리와 노옥리(老玉里) 일부를 병합하여 완오동이라 해서 이류면에 편입됨.* 가정
●가-쟁이[가정]【마을】온수골 북쪽으로 옛날에 큰 정자나무가 있었다고함.
●사리-실[사래실]【마을】흑평 윗쪽에 있는 마을로 절터의 탑에서 사리가 나왔다고 함. 지금도 탑자리가 남아있음. 사리실 절터에서 승려의 사리가 나왔다고하여 사리실이라고 불렀다고함. 이안초등학교가 개교하자 사람들은 사(舍)를 스승사(師)로 인식하여 스승이 온다는 사래실이라 부름.
* 거리실
●온수-고을【마을】거리실 윗쪽 솜실 고개 아래에 있음.
●원당-골【골짜기】사리실안에 고을 원님이 살았다고함.
●일곱실-고개【고개】한터말에서 가금면 일곱실로 넘어가는 고개.
●탑-골【골짜기】사리실에 있으며 새마을 사업때 탑골의 탑재를 이용하여 동네 입구에 마을 이름을 써 붙이기도 하였음. 지금도 탑 흔적이 있다고 함.
●한씨-사당【사당】거리실에 있는 사당.* 신촌
●신-촌【마을】불허터 동남쪽에 있는 마을로 음달말, 양달말, 주정골, 밤골 등이 있다.
* 흑평
●흑-평【마을】흑평은 풍수지리상으로는 거미혈로 닭이 거미를 잡아먹는다고 닭도 사육하지 않았다고 함.
●사지-봉【산】흑평 마을 뒷산으로 삿갓처럼 생겼다고하며 거미의 둔부처럼 생겼다고 함. 마을 사람들은 최근 까지도 마을이 거미혈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닭이 거미를 잡아먹을까바 닭을 사육하지 않았음.[
|
]
⊙ 본-리(本里)【리】이류면 법정리동의 하나. 본래 충주군 이안면(利安面)의 지역으로 이안면 소재지였으므로 본리(本里)라 하였는데, 1914년 군면 폐합에 따라, 독동(篤洞)과 당저리(堂底里), 노옥리(老玉里)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본리라 해서 이류면에 편입됨.* 노계
●노-계(老溪)【마을】본리에 있는 마을로 옛날 노승이 다리를 개울에 담그고 닭을 기르지 못하도록 하여 거미혈의 정기를 보전하여 마을이 번창하도록 하였다하여 시내를 노계라 하였음. 노계는 30호 되는데 경로 우대증 소지자가 38명이 되는 장수촌으로 소문나 있음. 자연 부락으로는 노계, 이안, 샘둥치가 있음.
●샘-둥치【샘】노계 옆 마을에 샘이 있는데 샘두껑을 닫고나서 할머니들의 허리가 많이 구부려져다 함.
●이-안【마을】노계 뒤로 있는 마을로 옛날에는 이안면의 소재지였음.
* 당저
●당-저(堂底)【마을】옛날에 큰 창고가 있어 홍창골이라고하며 또 산제당 밑에 있다고하여 당테미라고 부른다. 새터말, 당밑터, 홍창골, 성종, 장고개의 자연 부락이 있다.
●이-안(利安)【마을】노계 동북쪽에 있는 마을. 옛날에 이안면의 소재지였음.
●장-고개【고개】대소원에서 가젱이 가는 고개로 장사를 많이 치름 공동묘지가 많이 있음.
●활-당이【골짜기】홍창골 서북쪽에 있느 골짜기로 활같이 굽었다고 함.* 독동
●독-동【마을】이안 동북쪽에 위치하며 지형이 오목하여 독골, 옛날 기와집이 많아서 기와집말이라고도 부르며 뽕나무골, 기와집말, 양달말, 사당골, 깃대부리 등이 있음.
●깃대-뿔【마을】독골 앞에 있는 마을. 앞산이 뿔처럼 뾰족함.
'역사의 뒤안길에서 > 옛날 지명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인(多仁)과 달천(達川)의 지명유래에 대하여 (0) | 2017.02.23 |
---|---|
수레의산 지명유래에 대하여 (1) | 2015.09.22 |
장미산성과 잣고개에 대하여 (0) | 2015.06.27 |
금가면 지명유래에 관하여 (0) | 2015.06.12 |
충주시 노은면(老隱面)의 지명유래에 대하여 (0) | 2015.06.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