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타사가 아니라, 수타사.
대적광전이 아니라, 원통보전.
목불인가 ?
금불인가 ?
수타면이 떠오르는 수타사.
두타행이 두타산 산행은 아니겠지요.
무더위도 참아야 하는 것이지만,
참는 것만이 두타행은 아니겠지요.
두타행
① 고요한 곳에 머무르면서 세속을 멀리한다(在阿蘭若處).
② 언제나 걸식하여 신도나 국왕 등의 공양을 따로 받지 않는다(常行乞食).
③ 걸식할 때는 마을의 일곱 집을 차례로 찾아가서 빈부를 따지지 않고 걸식하며, 일곱 집에서 밥을 얻지 못하면 그날은 먹지 않는다(次第乞食).
④ 하루에 한 차례를 한자리에서 먹고 거듭 먹지 않는다(受一食法).
⑤ 항상 배고프지 않을 정도로만 먹고 발우 안에 든 음식만으로 만족한다(節量食).
⑥ 정오가 지나면 과일즙·석밀(石蜜:사탕) 따위도 마시지 않는다(中後不得飮漿).
⑦ 좋은 옷을 입지 않고 헌옷을 빨아 기워서 입는다(著弊衲衣).
⑧ 내의(內衣)·상의(上衣)·중의(重衣) 등 세 가지 옷만을 가진다(但三衣).
⑨ 무덤 곁에 머물면서 무상관(無常觀)을 닦는다(塚間住).
⑩ 쉴 때에는 정자나 집을 택하지 않고 나무 밑에서 쉰다(樹下止).
⑪ 나무 아래에서 자면 습기·독충·새똥 등의 피해를 입을 수 있으므로 한데에 앉는다(露止坐).
⑫ 앉기만 하고 눕지 않는다(但坐不臥).
'건축문화 > 전통건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길상사에서 (0) | 2021.11.30 |
---|---|
합천 해인사에서 (0) | 2021.11.21 |
퇴계 이황선생이 그린 옥사도자(屋舍圖子) (0) | 2019.05.24 |
도산서당의 옥사도자(屋舍圖子) (0) | 2019.05.23 |
도산서당(陶山書堂)에서 배우는 지혜 (0) | 2019.05.13 |